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기계 없는 현대는 상상할 수 없죠”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기계를 만난다. 그만큼 기계는 우리 삶에 있어 지배적인 존재다. 공학에서도 마찬가지다. 컴퓨터공학, 생명공학 등 많은 공학이 기계의 도움을 받고 있다. 지난 8월 5일에 만난 이관중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기계항공공학은 현대 공학 그 자체”라며 “다른 모든 공학의 기반이 된다”고 ... ...
- 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전자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고 있어요. 전자쓰레기는 우리가 사용하고 버린 휴대전화나 TV, 컴퓨터 등의 전자제품을 말해요. 과학기술위원회는 전자쓰레기에서 얻을 수 있는 부품을 골라내 3D 프린터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이 3D프린터로 신발이나 옷, 자전거 등 주변의 학교의 어린이들이 필요한 ... ...
- PART 1. 파랑은 없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생각했다. 하지만 힘바족 사람들은 이 색들을 각각 다른 이름으로 불렀다.미국 버클리대 컴퓨터공학과 폴 케이 교수팀은 파푸아뉴기니의 세픽람족의 언어에도 파랑이 없음을 알아냈다. 그래서 런던대 연구팀과 비슷한 실험을 했더니 세픽람족과 힘바족이 인지하는 색깔의 범위가 거의 비슷했다. ... ...
- [소프트웨어] 스트링아트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쉬웠어요. 그래서인지 1970년대까지도 바느질을 이용한 수학 학습은 인기가 있었어요. 컴퓨터가 발전하면서 점차 사라졌지만요. 그런데 직선으로 어떻게 곡선을 만들 수 있을까요? 함수의 원리를 이용하면 쉬워요. 예를 들어 y=13-x 함수를 생각해 보세요. 이 함수의 순서쌍 (0, 13), (1, 12), (2, 11), …, (12, ... ...
- [과학뉴스] 화성의 달은 어떻게 탄생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있었다. 연구팀은 화성의 3분의 1 크기만 한 원시행성이 화성에 충돌했다고 가정하고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했다. 충돌 후 파편들은 화성 주위에 납작한 원반을 형성하면서 점차 바깥쪽으로 퍼져 나갔다. 이 과정에서 바깥쪽 원반의 파편들이 서로 뭉쳐 지금의 포보스, 데이모스가 만들어졌다. 그 ... ...
- [Tech & Fun]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라는 5.34 페타플롭의 연산처리(1페타플롭은 초당 1000조 번의 연산처리)가 가능한 슈퍼컴퓨터를 도입할 예정입니다.볼더는 미국에서 학력이 가장 높은 도시 중 하나입니다. 인구 10만 명 남짓한 소도시에 NCAR를 비롯해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미국 해양대기청(NOAA) 분소까지 유명한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작업이다. 이 컷에 코딩의 늪에서 허우적대는 수많은 공대생이 한주연의 알고리즘을 컴퓨터 언어로 바꿔 댓글을 달아놨으니 궁금하면 이 컷에 달린 댓글을 찾아보면 된다.“악플도 좋으니 댓글 많이 달아주세요!”인기 만화 작가에게도 무서운 게 있다. 바로 악플보다 무섭다는 무플이다. ...
- [재미] 앵무조개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나타내는 수라는 뜻의 ‘로가리듬’을 줄여 로그라고 부르게 된 거죠.”로그는 계산기나 컴퓨터가 없던 시절, 사람들이 긴 시간 동안 해야 하는 계산에 시달리지 않도록 해준 놀라운 발명이었다.“그런데 대체 로그와 앵무조개는 무슨 관련이 있는 거지요?”“앵무조개 껍데기는 나선형 모양으로 돼 ... ...
- 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컨디셔닝하라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무선 근전도(EMG) 센서다. 근육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감지해,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근육의 사용 패턴을 보여준다. 도형 군이 주먹을 오므렸다, 폈다 하자 그래프가 꿈틀댔다. 힘을 내면 낼수록 근육의 전기신호는 더 활발히 생성되고, 그래프는 위아래 더 큰 폭으로 요동쳤다.이곳은 ... ...
- [Career] “ 공학이라는 오케스트라를 지휘합니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현실에서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가를 중점적으로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컴퓨터공학과만큼은 아니더라도 기본적으로 빅데이터를 다룰 줄 알아야 하죠.오세영 공학을 잘하는 문과생의 느낌이 나는데요(웃음). 실제로도 문과적 성향을 가진 학생들이 잘 맞나요?장우진 네, 문과와 이과의 성향을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