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3D프린터로 만든 인공 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재료와 인공조직 재료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어 모양을 쉽게 유지시킬 수 있답니다. 또한 컴퓨터단층촬영(CT)을 이용해 조직의 모양을 정교한 그래픽으로 만들 수 있는 기술도 개발했지요.연구팀은 이 기술을 바탕으로 실제 사람의 귀와 똑같은 모양과 재질을 가지는 인공 귀를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 ...
- [과학뉴스] 아카이브(arXiv)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아카이브에 올린 논문만으로도 업적을 인정받기도 한다. 기술의 발전 속도가 워낙 빠른 컴퓨터과학 분야에서는 현재의 기술이 1~2년 새 한물 간 기술이 될 수 있다. 연구자들도 학술지보다 아카이브를 더 많이 본다. 비싼 돈을 내야 볼 수 있는 학술지와 달리 아카이브에선 모든 논문을 무료로 볼 수 ... ...
- [과학뉴스] 1억짜리 아이언맨 수술, 받으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번쩍 들어 올리는 아이언맨 팔. 매처럼 볼 수 있는 눈, 슈퍼컴퓨터보다 더 빠른 뇌…, 영화 속 얘기 같지만 조만간 현실이 될 것들이다. 그동안 우리는 로봇과 인공지능이 사람과 비슷한 존재가 돼 나타날 거라는 데만 관심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한쪽에선 사람의 신체를 업그레이드 해 로봇과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관한 원천 특허를 확보할 계획이다. 또, 뇌 질환을 비롯해 인간-기기 인터페이스, 신경 컴퓨터, 지능형 반도체 칩, 생물 전자 소자, 신경 회로망, 뇌·신경 유전체 기능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프로젝트가 마무리 되는 2019년엔 과연 제품을 만날 수 있을까. 그는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결합해 하나의 통합적인 시스템을 이룬 존재를 일컫는다. 스마트폰 같은 장비들은 두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통해 점점 더 우리 신체 내부로 들어올 것이며, 우리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알아차리지 못한 채 다양한 기계ㆍ전자 장비와 결합하게 될 것이다. 유전자 조작을 통해 ... ...
- 단맛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MRI)로 관찰한 결과, 초코볼이 차지하는 공간이 최대 71%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또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초코볼이 길쭉한 타원형이라면 최대 74%까지 공간을 채울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연구팀은 초코볼이 타원형일 때 용기 안에서 더욱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더 쉽게 빈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질병을 예측하는 데 쓰일 수 있다. 지난 5월 10일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이현주 교수팀은 암과 관련이 많은 유전자를 찾아내는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유전체를 짧은 길이로 무수히 쪼갠 DNA 조각으로 나눠서 얻은 빅데이터를 이용했다.이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는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공급해 ‘세계 최초 웨어러블 미생물연료전지(World’s First Wearable MFC)’라는 신호를 컴퓨터에 2분간 띄우는 데 성공했다. 이에로풀로스 교수는 “전세계적으로 굉장히 많은 그룹이 다양한 미생물연료전지를 연구하고 있다”며 “그러나 입을 수 있는 유연한 미생물연료 전지는 우리가 최초”라고 ... ...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해킹하는 것에 비유했다. 무선공유기 하나를 해킹함으로써 공유기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를 해킹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컴파일러 백도어는 찾기도 어렵다. 붕어빵에 비유하면 원본 소스 코드가 붕어빵에 들어가는 재료, 컴파일러가 붕어빵을 만드는 틀이다. 그런데 틀에 벌레집(백도어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망막에 이식하면 색소가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해 시신경을 자극한다. 카메라나 소형컴퓨터 등 외부기기가 불필요하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현재 쥐 실험에만 성공한 상태다.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실험은 미정이다. 슈퍼눈미국 실리콘밸리의 바이오해킹그룹 ‘대중을 위한 과학’은 깜깜한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