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전공에 맞는 친구들이 한다. 소프트웨어 부문은 컴퓨터 관련 학과생이 만든다. 우리는 컴퓨터에 관심 있는 생물학 전공 친구들이 모여 머리를 맞대고 하나씩 배워가며 완성한 거다. 이런 게 진정한 융합학문 아니겠나(웃음).지원 금메달을 받은 걸로 알고 있다. 심사 기준은 어떻게 되나. ... ...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연구진에게 자신이 언제, 어디로 가서 무엇을 할 것인지, 그리고 언제 실험실로 돌아와 컴퓨터 실험을 진행할 것인지 얘기할 정도로 수준 높은 대화를 했다. 고릴라 수화로 유명한 ‘코코’의 수화 비디오를 통해 몇 가지 수화를 익혀 자신을 돌봐주는 사람과 대화하기도 했다. 언어 능력에 ... ...
- [교과연계수업] 내 눈을 지켜줘!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눈의 피로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요. 컴퓨터나 TV를 보는 시간도 많고, 밖에서 이동할 때에도 스마트폰을 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전보다 시력이 나빠지는 경우가 많아졌지요. 학생들의 경우에도 안경을 쓰는 친구들이 안경을 쓰지 않는 친구들보다 더 ... ...
- [재미] 제18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6년 05호
- 한다. 직접 설문조사를 하거나 실험을 해보는 것이다. 자료가 모이면 이를 직접 혹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한 뒤, 표와 그래프 등을 이용해 요약·설명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분석 및 해석과 결론을 제시해야 한다. 또,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생긴 예상 외의 ... ...
- [과학뉴스] 1889년 고흐의 방 진짜 벽 색깔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분홍색을 섞은 자주색이 된다.연구팀은 엑스레이로 물감이 어떻게 섞였는지 촬영하고 컴퓨터 알고리즘으로 고흐의 방을 복원했다. 복원된 그림에서는 바닥과 가구의 붉은 톤이 한층 강해졌다. 카사디오 박사는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고흐가 의도했던 편안함과 차분함이 더 강조됐다”고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충돌할 때 생긴 진동이 해저면에 전해져 험을 만든다고 본다.아드휴인 박사팀은 최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두 가설을 시험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doi:10.1002/2014GL062782). 그 결과, 주기가 30초 이상인 험은 첫 가설에 따라 만들어지고, 이보다 주기가 짧은(3~30초) 다른 미세 지진파는 두 번째 가설에 ...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이건 제 경험과 연관 지어 말할 수 있겠네요. 제가 학부에 진학할 때 한창 IT 붐이 일어 컴퓨터공학을 전공으로 선택했습니다. 막연하게 과를 선택하다 보니 제 적성과 너무 맞지 않는 거예요. 그래서 의공학으로 전공을 바꿨습니다. 보통은 학과를 선택하고 본인이 하고 싶은 공부나 연구주제를 ... ...
- [지식] 소수 끝자리 분포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언어로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1부터 1,000,000,000,000까지 소수를 모두 구해서 다 셌습니다. 컴퓨터가 없었다면 불가능한 작업이었을 연구지요. 아직은 이런 현상이 그저 소수가 가진 특이성인지, 아니면 소수가 아닌 다른 분야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인지는 잘 모릅니다.소수는 단순히 순수 수학자의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만들 수 있고 컴퓨터의 원리를 잘 몰라도 앱을 개발할 수 있는 것처럼, 합성생물학도 컴퓨터처럼 분업화된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전망이다.도약의 기회를 제공했지만, 한 가지 문제가 있다. 현재 합성생물학에 이용되는 유전자부품은 표준화4)된 것들이다. ‘모든’ ... ...
- [Knowledge] 과학인가 사기인가 과학 데이터와 통계 논란(下)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파문을 일으켰다.연구팀은 참가자들을 연구실에 앉혀 놓고, 그들이 직접 볼 수 없는 컴퓨터 화면에 야한 그림을 포함한 여러 가지 그림 중 하나를 무작위로 띄워 놓은 뒤 참가자들에게 어떤 그림인지 맞히라고 했다. 참가자들은 50%를 약간 웃도는 정답률을 보였는데, 연구팀은 유의확률이 0.05보다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