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d라이브러리
"
컴퓨터
"(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테스트 하려고 몰래 주입했던 모의 훈련이었다. 실제 중력파원의 물리량을 토대로
컴퓨터
가 임의의 시간에 라이고 검출기에 신호를 보내서 진짜처럼 보이도록 거울에 살짝 진동을 주는 프로그램(하드웨어 주입)이다. 몇 사람을 빼곤 연구단이 단체로 ‘낚인’ 셈이다.연구자들은 허탈한 표정을 ... ...
[Tech & Fun] 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➌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새로운 슈퍼
컴퓨터
를 세상에 내놓는다. 현재도 IBM, 인텔 등과 함께 타이탄의 후속 슈퍼
컴퓨터
인 ‘서밋(Summit)’을 개발하고 있다. 서밋의 목표는 150∼300페타플롭이다. 2018년 최종 개발을 목표로 소프트웨어를 담당하는 ORNL 연구원과 하드웨어를 담당하는 기업 연구원들이 매달 직접 만나 긴밀하게 ... ...
[수학뉴스] 방향에 속지 않는
컴퓨터
의 눈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인공지능
컴퓨터
는 날로 똑똑해지고 있지만 사람처럼 사물을 자연스럽게 인식하지는 못합니다. 좌우양옆 어느 쪽에서 보는지에 따라 생김새가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입니다.최근 미국 디즈니 연구센터 과학자들이 사물의 방향을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습니다. 말과 소, 자전거와 오토바이처럼 ... ...
Part1. 난수, 넌 누구니?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뒤부터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난수Part1. 난수, 넌 누구니?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참고자료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더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통계학적 기법을 써요. 생물의 특징을 숫자로 나타내
컴퓨터
에 입력하고, 그 결과로 유연관계가 얼마나 가까운지를 수치로 판단할 수 있답니다. 과거 농경 사회에서는 가난이나 질병 때문에 유아의 사망률이 높았습니다. 그래서 자식을 많이 낳아 농사를 지을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한번 촬영이 끝나고 스캐너실을 나서자 국과수 직원이
컴퓨터
를 만지작거리고 있다.헉.
컴퓨터
화면에는 방금 찍은 게 3D 사진으로 구현되고 있다. 마우스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이니 내 왼쪽 얼굴이, 또 아래로 움직이니 정수리가 보인다. 국과수 직원은 CCTV 속 사람과 내 3D 사진을 번갈아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컴퓨터
로 만드는 난수는 씨앗에 좌우된다. 게다가
컴퓨터
로 난수를 만드는 알고리즘의 종류는 두 세 개로 한정돼 있다. 난수를 만드는 방법이 같으니 만약 같 ... 불확실한 난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난수Part1. 난수, 넌 누구니?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Part 3. 완벽한 난수를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초창기 디지털
컴퓨터
를 이용해 1952년에만 무려 5개의 메르센 소수를 찾아냈다.
컴퓨터
로 메르센 소수를 찾기 전까지 가장 큰 소수는 에두아르 뤼카가 발견한 이보다 4배 이상 자릿수가 크다 ... ...
[소프트웨어] 정다각형 그리기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오개념 탈출, 정다각형정다각형과 관련해서 헷갈리는 내용을 문제로 출제했습니다. 2번과 5번만 틀렸고 나머지는 맞습니다. 흔히 정다각형을 모든 변의 길이가 같은 도형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은 마름모는 안쪽 각의 크기가 모두 같지 않아 정다각형이 아닙니다. 정다 ... ...
[동아리탐방] 특별한 경험을 선물받다! 인천당하중 ‘당찬’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가지고 놀던 레고를 이용해 사거리의 신호체계를 그대로 모형으로 만들었다. 평소
컴퓨터
를 잘하는 최현석 학생은 스크래치로 프로그램을 만들기도 했다.이렇게까지 연구를 소개하는 데 애를 쓰는 이유는 수학원리탐구대회에서 전시 부스도 운영하기 때문이다. 보통 간단한 수학 구조물을 만드는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