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암종
종양
수 합체의 뜻
폐해
cancer
뉴스
"
암
"(으)로 총 3,404건 검색되었습니다.
노후늦추려면 "적절한 혈중 철분농도 중요"
연합뉴스
l
2020.07.17
생물학적 노화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고, 노화가 진행될수록 심장질환이나 치매,
암
같은 치명적인 질환에 걸릴 위험도 커진다다. 연구팀은 3개의 공공데이터(Zenodo·Edinburgh DataShare·Longevity Genomics)에서 175만명의 유전정보를 취합, 수명과 건강수명, 예외적인 장수 등 노화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 ...
360억원 들여 육성한 국산 AI 전문의 '닥터앤서' 사우디서 검증 들어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한국의 정보통신기술(ICT)와 의료기술을 높이 평가한다”며 “이번에 심뇌혈관, 대장
암
등 현지 우선 순위가 높은 4개 질환의 5종 소프트웨어부터 교차 검증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닥터앤서의 임상효과가 검증되면 향후 사우디는 국방보건부 산하 6개 병원에 닥터앤서를 도입해 사우디 현지 환자 ... ...
자궁경부
암
HPV 바이러스, 전립선
암
도 유발(?)
연합뉴스
l
2020.07.15
인구 10명 중 약 8명은 평생 중 어느 시기에 HPV에 감염된다고 한다. 이 연구 결과는
암
전문지 '감염원과
암
'(Infectious Agents and Cancer) 최신호(7월 13일 자)에 발표됐다. ... ...
동성간 성접촉 통한 국내 에이즈 감염 53.8%…이성간 첫추월
연합뉴스
l
2020.07.14
HIV에 걸리더라도 바로 죽진 않는다. 아무런 치료를 받지 않아도 면역결핍으로 말미
암
아 사망에 이르기까지 10~12년 정도 걸린다. 올바른 치료와 건강관리를 한다면 30년 이상 건강하게 살 수 있다. 현재 에이즈는 더는 죽는 병이 아닌 만성질환으로 분류되고 있다. HIV 감염인들이 복용하는 ... ...
3D 바이오프린팅으로 인공 방광
암
조직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기대된다. 정성준 교수는 “바이오프린팅을 활용한 정밀의료 기술은 획일적인
암
치료법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줄이고 개인 맞춤형 치료 전략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면역의 최전선 역할부터 치매·
암
해결 실마리까지…림프관의 재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7.10
최근에서야 특성을 규명하며 녹내장 치료 연구의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유방
암
수술 뒤 배수기능이 떨어져 생기는 ‘림프부종’ 등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증상에 대한 해결책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이정호 교수, 뉴욕과학아카데미 과학혁신가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7.09
뇌전증 발생원리를 밝혔다.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 돌연변이가
암
부위가 아닌
암
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선임 과학자상은 아드리안 크라이너 미국 콜드스프링하버연구소 교수가 수상했다. 크라이너 교수는 DNA의 유전정보가 단백질로 변환되는 과정 중 하나를 ... ...
"줄기세포가 분화해 무엇이 될지, 사실상 RNA가 결정한다"
연합뉴스
l
2020.07.08
핵심 역할을 한다는 건 이런 과정을 거쳐 입증됐다. 유전적 변이로 생기는 특정 유형
암
과 태아기 심장 이상 등의 RNA 표적 치료가 가시권에 들어온 순간이기도 했다. ... ...
이달부터 말기
암
환자 해외 임상시험중 의약품도 쓸 수 있다
연합뉴스
l
2020.07.08
등이 해외에서 임상시험 중인 의약품을 쓸 수 있게 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말기
암
이나 다른 치료수단이 없는 중증질환자 등 희귀 난치질환자의 치료 기회를 확대하는 정책을 이달부터 시행한다고 8일 밝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이를 위해 해외에서 개발 중인 의약품의 국내 사용 ... ...
[의학게시판] 김주신 전북대병원 前 약제부장 국무총리 표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무균제조의 30%를 로봇이 맡고 있다. ■김현석 연세대 의대 의생명과학부 교수팀은 난치
암
으로 알려진 교모세포종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와 치료법을 발견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교모세포종 50종 시료를 분석해 단백체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약물 반응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