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암종
종양
수 합체의 뜻
폐해
cancer
뉴스
"
암
"(으)로 총 3,28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십조원 규모 연구용 원자로 수출 시장 종주국서 뚫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방사성동위원소는 '루테튬-177'이다. 루테튬-177은 희귀질환인 신경내분비
암
과 전립선
암
치료에 사용된다. 미주리대 원자로는 미국에서 유일하게 루테튬-177을 생산하는 시설이다. 임 원장은 "한국에서 루테튬-177은 치료에 사용하는 데 실험 단계지만 미국은 이미 치료에 루테튬-177을 활용한다"며 ... ...
생존율 낮은 췌장
암
, 치료 효과 높일 '유전자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증가할 만큼 치료기술이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췌장
암
환자들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캔서 레터스’에 게재됐다 ... ...
색깔로 간
암
세포 구분…초기 간
암
찾고 수술 정확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장 교수는 "간
암
진단의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뿐만 아니라 수술 중 형광을 따라가며
암
조직만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혁신 기술"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21/acscentsci.4c0182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세포도 생존에 '미토콘드리아' 쓴다
2025.04.16
'네이처'에 미토콘드리아 전이를 주제로 한 특집기사가 실렸는데 미토콘드리아 전이가
암
세포의 생존 전략일뿐 아니라 다양한 세포에서 관찰되는 보편적인 현상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쓰일 수 있다는 내용이다. 기사에 따르면 미토콘드리아가 세포 사이를 옮겨다니는 방법을 3가지가 있다. ... ...
[의학바이오게시판] 루닛, GC녹십자아이메드 건강검진 기관에 AI
암
진단 솔루션 공급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왼쪽부터 루닛 흉부 엑스레이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과 유방촬영술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 루닛 제공 ■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은 GC녹십자아이메드와 흉부 엑스레이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 및 유방촬영술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 공급 ... ...
3D 유사장기로 두경부
암
원인 돌연변이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저널’ 최신호에 게재됐다. - doi.org/10.1084/jem.20240758 3차원(3D) 두경부 전
암
오가노이드(인공장기) 모델을 개발한 연구진. 강남세브란스병원 박영민 교수,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데첸 린 교수, 남제현 박사. 강남세브란스병원 제공 ... ...
암
세포 돕는 나쁜 세포 공격하는 면역항
암
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4
정밀 면역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암
면역치료학술지’ 4월호에 게재됐다. doi.org/10.1136/jitc-2024-011422 배현수 경희대 한의학대학 교수(왼쪽)와 강성호 응용화학과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 ...
면역반응의 ‘두 번째 과정’…최적 T세포만 골라 활성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키메라항원수용체T(CAR-T) 세포 치료와 같은 면역세포 기반 항
암
요법에서 왜 특정 치료가 효과적인지, 왜 실패하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번 발견이 T세포 기반 치료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전립선
암
위험, 피보다 침이 잘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검사보다 개선된 전립선
암
선별검사 도입이 시급하다“며 ”다만 타액검사가 실제로
암
환자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지 입증하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일상에 적용되기까지는 몇 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doi.org/10.1056/NEJMoa240793 ... ...
혈관과 소통하는
암
, 실시간으로 본다…상호작용 모사 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0
분리됐지만 신호 물질은 자유롭게 오갈 수 있어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구조다. 또 각
암
세포 스페로이드는 개별 웰(well)에 분리돼 배양되기 때문에 간섭 없이 스페로이드 단위로 독립적인 관찰과 분석이 가능하다. 조윤경 교수는 “종양 미세환경을 정교하게 모사한 조건에서 약물 내성을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