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뭉치
덩이
다발
타래
쌓아올린 더미
솜뭉치
사리
d라이브러리
"
덩어리
"(으)로 총 1,22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대 ‘단결정’ 금 15억 원 이상 가치
과학동아
l
201405
수십 년 전에 발견된 금
덩어리
가 미국 국립연구소의 분석 결과 세계 최대의 단결정 금인 것으로 밝혀졌다. 단결정 금은 금 원자가 한 방향의 축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한 구조로, 다결정(방향이 서로 다른 단결정이 여럿 섞인 결정) 금에 비해 매우 희귀하다. 연구소는 이번에 조사한 금의 가치가 ... ...
별에서 온 ‘귀하신’ 운석이, 한국의 독자에게
과학동아
l
201404
보니 몸이 닳아 없어질까 봐 걱정될 지경이에요.저는 올해 3월 9일 밤 전국에서 화구(불
덩어리
)형태로 관측됐어요. 이어 이튿날인 10일 진주대곡면에서 비닐하우스를 직격해 땅에 박힌 모습으로 발견됐지요. 사람들은 화구와 이 돌이 같은 것인지, 운석인지를 놓고 논쟁을 했는데, 극지연구소와 ... ...
우주의 꿈, 화성에서 찾다
과학동아
l
201404
응결되고 합쳐져 점점 더 큰
덩어리
로 자라났다.
덩어리
는 주변의 가스물질과 작은
덩어리
들을 계속 흡수했고, 결국 자신의 궤도에 있는 대부분의 물질을 끌어 모아 하나의 행성이 됐다.태양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특성이 다른 두 가지 형태의 행성들이 태어났다. 원시태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 ...
내 허파에 낀 초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
과학동아
l
201404
교수팀은 2008년 미국 스크립스 해양연구소와 공동으로 중국에서 날아오는 공기괴(공기
덩어리
)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김 교수는 “블랙카본은 이산화탄소 등 온실기체와는 달리 대기 중 체류시간이 수 일에서 수 주로 짧고 대부분 발생지 근처에서 영향을 준다”며 “하지만 중국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
과학동아
l
201404
“사프란의 암술을 채집해 전용 건조실에서 조심스럽게 말린 후에 만든 사각형
덩어리
가 바로 상점에서 파는 사프란”이라고 적혀 있다. 암술은 꽃마다 오직 세 개만 있기 때문에 사프란 1kg을 만드는 데 약 15만 송이의 꽃이 희생된다. 사프란의 몸값이 치솟아, 중세에는 사프란 만한 사치품이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201404
내 도파민 수치가 올라가거나 혹은 편도체(대뇌의 아랫부분에 위치한 아몬드 모양의 신경
덩어리
), 전전두엽(이마 부분에 위치한 대뇌의 일부분)이 손상되면 편집증과 공격성이 나타난다는 연구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 나타나는 편집증과 공격성은 현실에서 매우 동떨어진 형태로 ... ...
상한 머리카락 자르는 게 답이다
과학동아
l
201403
빼놓을 수 없다. 한순간의 따끔함을 참고 머리카락을 하나 뽑아보면 뿌리 부분에 흰색
덩어리
가 보이는데 이것이 모근이다. 간혹 모근 위로 뭔가 반쯤 투명한 얇은 막이 머리카락을 감싸고 있는 것도 보이는데 이것은 모근을 감싸고 있는 주머니 모양의 조직인 모낭이다. 궁금하다면 한번 자신의 ... ...
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1403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타르보사우루스의 위 내용물 화석은 여러가지 뼈가 함께 뭉쳐진
덩어리
로 나왔는데 우리는 이 속에서 갈리미무스의 발톱을 확인했다! 이는 실제 타르보사우루스가 갈리미무스를 먹었다는 것을 처음으로 보여준 발견이었다. 타르보사우루스는 크기 12~14m로 아시아에서 발견된 ... ...
가창오리의 억울한 죽음
과학동아
l
201403
둥그렇고 하얀 포대만 가득하다. 농가에서는 이 곤포사일리지를 500㎏짜리 한
덩어리
당 7만 원에 팔아 수익을 올리고 있다.그래서 대신 사람들이 직접 철새에게 먹이를 주기 시작했다. 2002년부터 생물다양성협약에 따라 전국 철새도래지 인근 지자체에서 철새에게 먹이를 주고 있다. 하지만 이번 AI ... ...
빙하 VS 빙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2
부분의 높이가 최소 5m 이상일 때 빙산이라고 부르지요. 높이가 5m가 되지 않는 작은 얼음
덩어리
는 ‘유빙’이라고 한답니다. 육지의 빙하가 흘러 바다로 들어가면 빙산이 되는 거예요. 빙산의 일각이라는 말은 아나요? 대부분이 숨겨져 있고 외부로 나타나 있는 것은 일부분이라는 의미지요. 이처럼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