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서클
기본형
으뜸꼴
원
모형
둥근꼴
d라이브러리
"
원형
"(으)로 총 794건 검색되었습니다.
42년 만에 땅에 내려온 이순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101
예쁘게, 말끔하게 수리하는 것이 복원의 왕도는 아니다. 이순신 장군 동상은 최대한
원형
의 모습을 유지하면서도 튼튼하게 복원하고 있다. 50년 전 미녀를 현재의 미의 척도로 판단함에 무리가 있듯이, 이순신 장군 동상의 상태를 현재의 재료나 기술 등을 기준으로 ‘불량’이라 평가하는 것은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12
그러나 오늘날 니케상을 볼 수 있는 것은 오랜 시간에 걸쳐 문헌을 찾고 상상력을 보140태
원형
을 재현하기 위해 노력했던 수많은 연구사들이 있었기 때문이다.월터 실장은 이를 ‘과거와 현재를 잇는 작업’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니케를 완성하기 위해 연구원들은 그 당시에 조각가들이 어떤 ... ...
똑딱이로 찍은 명품 항공사진
과학동아
l
201011
발생하는 충격에 대비했다”며 “풍선을 띄울 당시 기상 상황이 좋지 않았는데 박스의
원형
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무사히 촬영에 성공해 뿌듯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 ...
[지구과학] 지자기 탐사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11
운동할 경우 흡사
원형
의 전류가 흐르는 것과 같은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원형
전류에 의해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된다면 막대자석과 같은 강자성체 없이도 퀴리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지구 주위의 자기장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유동성을 지닌 물체의 운동은 완전히 고정된 운동이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
과학동아
l
201010
복원하는 과정은 ‘디지털 온고지신(溫故知新)’이라고 생각한다. 고대백제 민족의
원형
을 묘사한 백제금동대향로에서 우리 문화의 원초적(原初的)인 유형을 찾을 수 있었다는 것은 필자만의 생각일까. 도시도, 아름다운 백제의 향로도 가상공간을 통해 전달할 수 있게 됐다. 비록 디지털이 만든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09
임 명장은 “기초 틀이 되는 석재는 전통방식인 판축다짐 방식으로 고정해 최대한
원형
에 가깝게 복원했다”고 밝혔다. 판축다짐은 건축물을 올릴 곳의 바닥에 마사토, 강회(생석회), 잡석 등을 번갈아 다져넣어 지반을 튼튼하게 만드는 방법이다.이 밖에 광화문 복원과정에서는 판축다짐을 하기 ... ...
슈퍼히어로의 천리안 위성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8
궤도를 그리며 돌게 된다. 이런 과정을 세 번 반복하면 드디어 고도 3만 6000㎞ 상공에서
원형
궤도를 돌게 된다. 이 때까지 약 2주가 걸린다. 정지궤도까지 가는 데만 2주가 걸린다고? 그럼 정보가 필요할 때 나도 2주나 걸려 위성까지 직접 가야 하나? 사고가 생기면 바로 나타나서 해결해 줘야 ... ...
첨단 과학 이끄는 대형 연구단지
과학동아
l
201008
부지에 있다.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하는 길이 205m의 선형가속기동과 지름 450m의
원형
저장링동으로 이뤄진 3세대 방사광 가속기를 보유하고 있다.흔히 ‘빛 공장’이라고 부르는 방사광 가속기는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해서 방사광을 만드는 시설이다. 우리나라에 단 하나뿐인 3세대 방사광 ... ...
입체도형 종합선물세트
수학동아
l
201008
대표적인 예로 ‘돔’이 있습니다. 돔은 텅 빈 반구 구조로 생긴 다면체 곡면입니다.
원형
과 육각형, 팔각형의 모양으로 건물의 지붕이나 천장으로 쓰입니다. 건물의 지붕이나 천장을 돔 구조로 하는 이유는 다른 구조보다 튼튼하기 때문입니다. 정다면체나 정다각형 구조는 다른 형태의 ... ...
바다 밑 생명체 대왕 오징어
과학동아
l
201007
오징어는 예로부터 뱃사람들 사이에 전설로 전해지던 거대한 바다 괴물 ‘크라켄’의
원형
이다. 현대에 와서는 실제 대왕 오징어가 발견되면서 전설 속 바다 괴물의 실체가 드러났다. 1998년 대서양의 해저 4000m 지점에서 대왕 오징어가 처음 목격된 뒤 태평양과 인도양에서도 여러 차례 모습을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