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서클
기본형
으뜸꼴
원
모형
둥근꼴
d라이브러리
"
원형
"(으)로 총 79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구조의 알파와 오메가, 지형류의 발생
과학동아
l
201007
리보솜은 자체 DNA로부터 합성된다.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DNA는 원핵생물과 같이
원형
이다. 또한 진핵세포는 리보솜의 크기도 다르다. 리보솜의 크기를 나타낼 때 원심분리 시 침강하는 정도를 보고 ‘S’라는 단위로 크기를 표기한다. 진핵세포는 80S 리보솜을 갖고 있지만 미토콘드리아와 ... ...
PART 3 똑똑한 곤충의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07
두 번째로 100m 이상일 때 추는 8자형 춤은
원형
춤보다 좀 더 복잡하다. 형태를 띤다.
원형
모양에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8자형 춤을 추는데, 중앙선 부분에서는 꼬리 를 흔드는 꼬리 춤을 춘다. 그림과 같이 8자형 춤으로 꿀벌은 꽃의 위치를 알려 준다. 중심선과 중력의 반대 방향 사이의 각도가 꽃의 ... ...
나무의 숨겨진 힘
과학동아
l
201007
농도에 따른 값(삼투압)과 식물체의 팽압(식물세포를 물에 담그면 세포의 내용물인
원형
질이 물을 흡수해 팽창하고 세포벽을 넓히려는 힘)에 의한 효과를 포함하고 있다. 수분포텐셜로 식물체 내에서의 물의 이동을 설명해보자. 식물은 무기양분을 능동 수송해서 물관 내에 보유하고 있으므로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꿀벌 초유기체
과학동아
l
201007
알려주는 춤을 발견했다. 벌집으로부터 밀원이 10m 안에 있을 때는 공중에서 원을 그리고(
원형
춤) 10∼100m 안에 있을 때는 초승달을 그리며 100m 밖에 있을 때는 숫자 8을 그리는 춤을 주로 춘다는 사실도 알아냈다.벌은 집 안이 더러울 때 나선형을 그리거나 불규칙적으로 이리저리 뛰면서 배를 좌우로 ... ...
사건파일 2 도둑의 발자국
수학동아
l
201006
찍힌 발자국을 남기지만 끝이 뭉뚝하고 발굽 부분이 둥글거든. 목이 긴 용각류는 커다란
원형
발자국을 남기지.도둑이 남긴 발자국의 길이가 약 11cm인 걸 보면 작은 수각류 공룡이라는 걸 알 수 있어. 그런데 살금살금 걸을 때와 쿵쾅쿵쾅 뛸 때 발자국의 크기는 조금씩 달라지기 마련이야. 지금까지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06
비행 시뮬레이션을 대신했다. 로봇새 날개에 빛을 잘 반사할 수 있도록 수십 개의
원형
스티커를 붙여날갯짓을 할 때 어떻게 힘을 받아 날개가 변형되는지 실험했다.한 교수는 현존하는 많은 소형 비행체가 풀어야 할 과제로 페이로드 탑재 능력을 꼽았다. 카메라나 비행 데이터 측정 장치 같은 ... ...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06
많이 들어 있다. 또 벌집모양의 구멍이 공간의 낭비 없이 촘촘히 박혀 있어 사각형 또는
원형
의 구멍이 생기는 침엽수 숯과 활엽수 숯에 비해 표면적이 넓다. 표면적이 넓으면 공기 중의 유기물이나 냄새의 근원이 되는 불순물을 많이 잡아둘 수 있으므로 탈취효과가 높아진다.대나무는 숯을 만들 때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05
구멍을 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봤다. 그가 만들고자 한 것은 오늘날의 레이저 빔 장치의
원형
인 셈이다. 1959년 6월 미시간대에서 열린 광학 펌핑에 관한 회의에서 굴드는 자신의 구상을 ‘유도방출에 의한 빛의 증폭(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즉 레이저(LASER)라는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05
어떻게 하면 가지런히 한 방향으로 모을지 연구하고 있다.
원형
, 스타디움(일그러진 타
원형
), 나선형, 삼각형 등 다양한 모양에서 레이저 발진 모드를 살핀 결과, 모서리를 둥글게 만든 삼각형 공진기에서 방향성이 좋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마이크로 디스크 레이저는 빛을 증폭시키는 ... ...
숫자 4의 탄생과 성장
수학동아
l
201004
끝과 왼쪽 끝이 연결된 4가 탄생한 거야. 중국에서도 처음에는 넷을 라고 썼어. 한자의
원형
인 갑골문에 一, 二, 三 다음에 라고나타난 거지. 하지만 그 뒤 사방(口)을 서로 등지고 나눈(八) 모양에서 넷을 뜻하는 四가 됐어. 만물이 수로 이뤄진다고 주장하던 피타고라스 학파에게 숫자 4는 특별한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