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2,942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
과학동아
l
201610
방법 등이 떠오르지 않아 ‘멘붕’에 빠져버렸다. 결국 파일을 절반도 완성하지도 못한
채
뜬눈으로 해가 뜨는 걸 구경해야만 했다. 이때 벼락치기를 망친 원인은 순식간에 해결해야 할 일에 대해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마감을 앞두고 해야 할 일을 순식간에 해치울 수 있는 비법 중 하나는 ... ...
Part 3. 바퀴 열차의 한계를 넘어라! 자기부상열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0
바퀴로 달리는 열차는 속력에 한계가 있대. 그래서 더 빨리 달리기 위해 바퀴 없이 달리는 열차를 개발했다고 해! 도대체 어떻게 바퀴 없이 달리는 걸까?해무처 ... 앞으로 나가가게 되지요. 이처럼 자기부상열차는 열차의 극과 선로의 극이 계속 바뀌면서 공중에 뜬
채
로 달리게 된답니다 ... ...
[특별 이벤트] 수학자를 이겨라!
수학동아
l
201610
질문했어요. 식사를 마친 뒤에도 한참 동안이나 이야기꽃을 피우다가 아쉬움을 뒤로 한
채
혜화역으로 향했어요. 마지막 기념사진을 남기는 것도 잊지 않았지요.김종락 교수는 “만약 혼자서 했다면 중도에 포기하고 말았을 것”이라며, “학생들이 협력하면서 할 수 있는 수학적인 체험 게임을 할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610
크기의 축 공항에서 태평양해양과학기지(이하 기지)까지는 차로 40분 정도 걸렸다. 8km가
채
안 되는 거리지만 이 중 미끈하게 포장된 도로는 500m 정도밖에 되지 않아 시간이 배로 들었다. 수 차례 자동차 천장에 머리를 부딪히며 도착한 기지 앞 풍경은 이런 고생(?)을 보상하고도 남을 만큼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
과학동아
l
201610
보호하기 위한 로봇이 활약 중이다. 미국의 ‘고래와 돌고래 보호’ 단체에 따르면, 죽은
채
로 발견되는 고래의 3분의 1 이상에서 배와 충돌한 흔적이 발견된다. 한국 앞바다에서도 종종 사고가 일어난다. 작년 4월 부산에서 일본 후쿠오카로 출발한 260t급 쾌속 여객선이 출항 40분 만에 돌고래나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10
경주에 규모 5.8 지진이 일어나기 약 48분 전에 규모 5.1 지진이 일어났었습니다. 한 시간이
채
지나기도 전에 약 11배나 더 강한 지진이 찾아왔다는 사실, 놀랍지 않나요? 언제 더 강한 지진이 한반도를 뒤흔들지 모릅니다.수학적 처방으로 우리 집 지키기지진이 일어났을 때 지진으로 무너진 건물에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10
것이 1988년부터다 보니 실제로는 적용되지 않은 건물이 많기 때문이다. 서울에만 66만
채
에 이른다. ‘신속한 경보’만이 살 길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해외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지진을 예보하고 조기경보한다. 미국지질조사국이 개발한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셰이크얼러트’는 사람들이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10
동작을 멈췄다.그리고 눈 앞에서 펼쳐질 잔혹한 행위를 예상하며 차마 발을 떼지 못한
채
그의 뒷모습을 바라보았다. 이상하게도 조금 전 자신이 별 생각 없이 내뱉었던 말이 떠올랐다. 인생이란 원래 외로운 거예요. 우주라고 다를 게 없죠. 외로움은 니샤에게도, 윤환에게도, 군중에게도 있었다. ...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
수학동아
l
201609
중 하나는 바로 ‘사진 촬영 금지!’예요. 설사 금지가 아니더라도 스마트폰를 손에 쥔
채
우르르 몰려다니는 관람객들을 좋아할 전시관은 없어요. 그런데 이미 스마트폰은 하루라도 없으면 불편한 우리 삶의 일부잖아요. 그런 스마트폰를 이용해 수학 체험을 할 수 있다면 더 좋겠죠?미국의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
과학동아
l
201609
현재 자신이 처한 처지를 파악하고 적절한 행동을 하는 능력, 즉 의식을 잃어버린
채
저항하지 않고 끌려 간다.실제로 최근에 곤충이 의식을 가진 존재라는 연구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호주 맥쿼리대 생명과학과 앤드류 바론 교수와 철학과 콜린 클라인 교수는 ‘의식의기원에 대해 곤충이 알려주는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