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삽입
기입
추가
간행
발행
d라이브러리
"
게재
"(으)로 총 65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지진 규모 예측할 단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나타나는 특수한 패턴을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9월 22일자에
게재
했다. 현재까지 지진 예측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대다수 지진학자들의 중론이었다. 하지만 최근 지진을 발생시키는 단층 파열이 특정한 패턴을 따라서 일어난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지진이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4색 정리의 응용판! 베크너의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베크너의 문제를 푼 논문을 공개합니다. 이번엔 학술지 ‘조합적 이론 시리즈 B’의
게재
승인까지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여러 수학자의 검증 과정을 거쳤으니 문제가 풀렸다고 볼 수 있겠지요? 이 논문은 앞서 소개한 것과 다르게 컴퓨터를 전혀 쓰지 않았습니다. 다만 훨씬 더 복잡하지요. 제가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과정을 촉진한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2월 22일자에
게재
됐다. 연구팀은 추가로 피뿌리풀 추출물이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세포 실험에서 레티놀 등 현재 주름개선 화장품에 주로 들어가는 성분들과 비교한 결과 주름 형성을 ... ...
[Issue] 우사인 볼트는 왜 영원할 수 없나, 근육 노화로 풀어 본 스프린터의 숙명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점이다. 오스트리아 연구진은 쥐 실험으로 이를 밝혀 2015년 6월 ‘생체분자저널’에
게재
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항산화 효소는 활성산소를 막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런 항산화 효소가 골격근에서는 속근섬유보다 지근섬유에서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다시 말해 속근섬유 비중이 ...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1973년 메이나드 스미스와 프라이스의 공동 논문인 ‘동물 갈등의 논리’가 ‘네이처’에
게재
됐다. 진화 게임 이론의 시대를 연 기념비적인 논문이었다. 전중환_evopsy@gmail.com서울대 생물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진화심리학 전문가이며 현재 ... ...
[과학뉴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농업경제학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수확의 계절 가을이다. 역사적으로 인류의 흥망성쇠는 농업과 함께 해 왔다. 농업의 발전이 없었다면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는 결코 이 ... 2015년 기준 4.141로, 농업경제학 부분 83개 저널 중 4위다. ‘오픈액세스’ 저널로, 논문이
게재
된 지 1년 뒤면 아카이브를 통해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다 ... ...
Part 3.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연구자들은 경력단절 경험에도 불구하고, 2016년 12월 기준 국내외 학술지에 논문 177편을
게재
했고, 이 가운데 117편은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논문으로 조사됐다. 특허출원과 등록은 56건, 국내외 학회 발표는 443건 등으로 활발히 활동했다. 경력단절 뒤에도 네트워크 끈 놓지 말아야성공적인 ... ...
[Origin] 유전자, 게임을 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그의 연구 성과는 1967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특이한 성비’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게재
됐다. 해밀턴은 이 논문을 자신이 쓴 모든 논문 가운데 으뜸으로 꼽았다(이타성의 진화를 규명한 1964년 논문조차 뒷전으로 밀려나다니!).한 쪽 성에 치우친 성비를 해밀턴은 어떻게 설명했을까. 피셔의 ... ...
[과학뉴스] 까마귀도 배신자를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흔히 기억력이 안 좋은 사람에게 ‘까마귀 고기를 먹었느냐’고 이야기 하는데, 이 비유가 과학적으로 맞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스트리아 빈대 인지생 ... 맺고 행동하는지를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동물 행동’ 6월호에
게재
됐다. doi:10.1016/j.anbehav.2017.04.00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연관성이 제기된 것은 1998년 영국의 소화기학자 앤드루 웨이크필드 박사가 ‘랜싯’에
게재
한 논문 때문이다(1파트 참조). 하지만 부정확한 데이터와 윤리적인 문제로 해당 논문은 영구 철회됐다. 백신 반대론자들은 백신의 사용과 자폐증에 걸린 어린이의 수 증가가 비례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