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삽입
기입
추가
간행
발행
d라이브러리
"
게재
"(으)로 총 65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제대로 안착하지 못하고 자꾸 미끄러지네요. 학술지 ‘생식및불임’ 2013년 2월 6일자에
게재
된 논문(doi:10.1016/j.fertnstert.2012.12.049)에 따르면, DNA 분절과 불임은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배아가 발달하려면 DNA에서 RNA로 전사가 일어나 여러 필수 단백질이 만들어져야 하는데, 흥부자 정자가 음주가무를 ... ...
[과학뉴스] 자동차 배기가스에 어린이 DNA 손상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천식과 텔로미어 유전자 길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직업환경의학’ 5월호에
게재
했다.텔로미어는 세포핵 속 염색체 말단에 있는 유전자로, 길이가 짧아지면 세포의 분화 능력을 약화시켜서 사멸되게 한다. 최근 교통수단에 의한 대기오염이 성인의 텔로미어 유전자 길이를 짧아지게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연관성이 제기된 것은 1998년 영국의 소화기학자 앤드루 웨이크필드 박사가 ‘랜싯’에
게재
한 논문 때문이다(1파트 참조). 하지만 부정확한 데이터와 윤리적인 문제로 해당 논문은 영구 철회됐다. 백신 반대론자들은 백신의 사용과 자폐증에 걸린 어린이의 수 증가가 비례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 ...
[과학뉴스]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물 미생물로 깨끗하게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전종호 한국원자력연구원 생명공학연구부 박사와 최용준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금 나노입자가 포함된 미생물을 활용해 방사성 요오드 폐기물을 제거하는 기술을 ... 발간하는 학술지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스’ 4월 4일자에 표지논문으로
게재
됐다. doi:10.1039/C7CC0072 ... ...
[과학뉴스] 종양생물학 (Tumor Biology)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스프링거 네이처’는 4월 20일 성명서를 통해 2012~2016년 종양생물학에 중국 기관이
게재
한 논문 107개를 철회한다고 발표했다. 스프링거 측은 이들 논문이 가짜 e메일을 이용해 심사의견을 허위로 꾸며 제출했다고 설명했다.종양생물학은 종양 표적 치료와 종양표지자에 관련한 임상 연구를 주로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네이처’에 도전했다. 우여곡절을 거친 후에, 두 사람의 논문은 모두 ‘네이처’에
게재
되었다. 프라이스의 ‘선택과 공분산’은 1970년 8월, 해밀턴의 ‘진화 모델에서 이기적 행동과 악의적 행동’은 그해 12월에 출판되었다. 프라이스 방정식이 완벽하게 새로운 성과임을 내세우려는 듯이,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만든 셈이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해 10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온라인판에
게재
됐다.연구팀은 고효율 나노발전기로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성공했다. 백 교수는 “실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나노발전기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면서 “이를 위해 실제 응용성에 큰 비중을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논문의 진가를 한눈에 알아보고는 직접 독일어로 번역해 ‘물리학저널’에
게재
할 수 있도록 주선해 줬다. 그렇게 세상에 나온 이론이 바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이다.스스로 역류하는 신비로운 유체?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은 보존(boson)으로 분류되는 입자로 이뤄진 기체를 절대 0도에 가깝게 ... ...
[과학뉴스] 거미집 모방해 바이오센서 능력 UP!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감지속도를 기존보다 월등히 높인 새로운 바이오센서 플랫폼이 개발됐다.바이오센서의 성능은 센서의 분해능과, 진단하고자 하는 분자의 이동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지금 ...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엔피지 아시아 머티리얼스’ 온라인판 3월 31일자에
게재
됐다. doi:10.1038/am.2017.3 ... ...
[Issue] 내 옷이 만든 재앙 해양 미세섬유의 습격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13만 7951개의 미세섬유가 나왔다. 이 연구는 지난해 11월 15일 ‘해양오염학회지’에
게재
됐다(doi:10.1016/j.marpolbul.2016.09.025).더 큰 문제는 합성 섬유의 사용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패스트패션 브랜드가 등장한 2000년 이후 폴리에스테르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2030년에는 현재보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