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고비
고개
언덕
정상
요소
출입문
d라이브러리
"
관문
"(으)로 총 268건 검색되었습니다.
삔 발목에 발목 잡히지 않는 법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침술이 통증을 없앨 수 있다는 주장도 알려져 있었다.현재 침의 진통작용에 대해서는
관문
조절설 이외에도 β-엔돌핀과 엔케팔린 등 신경내분비물질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발표돼 침술 마취가 단지 최면술이나 암시의 일종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는 없다.침술 마취의 과정을 살펴보자. 우선 수술할 때 ... ...
유관순 열사의 마지막 편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강을 건너 결국 유관순 열사의 마지막 편지가 들어 있는 금고까지 찾아왔다. 이제 마지막
관문
만이 남았다. 금고는 번호를 맞추어야만 열 수 있게 되어 있었다. 금고에는 숫자들이 적혀 있었고 그 숫자 마지막의 빈칸에 들어갈 숫자가 금고의 비밀 번호였다. 비밀 번호는 과연 무엇일까? 썰렁홈즈의 ... ...
세계 과학도를 품에 안은 중립국 스위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집중해왔다. 이 점은 한국도 마찬가지. 그러나 아직까지 유럽에서는 아시아로 진출하는
관문
으로 중국이나 인도를 점찍은 나라들이 많다.“유럽은 아시아 진출의 교두보로 한국을 선택해야 한다고 봅니다. 한국과 유럽은 산업적인 측면에서 동일한 과제에 당면해 있기 때문이죠. 세계 여러 기업들의 ... ...
허리를 웃게 하자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것이다. 즉 침으로 인한 자극이 통증신호가 뇌에 이르는 것을 차단한다는 말이다.물론
관문
조절설은 침의 효과를 설명하는 한 가지 이론일 뿐, 통증에 대한 침 치료의 지속적인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는 미흡하다.근육 깊숙이 자극하는 것이 비결만성 허리 통증이 생기는 원인이 있다면 이를 제일 ... ...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쓰레기를 주우며 환경과 인권의 중요성을 사람들에게 알렸지요. 드디어 폴투폴의 마지막
관문
인 남극에 도착했을 때의 감격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였어요.새해를 여는 북극과 남극 여행이 재미있었나요? 극지의 자연은 미래의 기후를 예측하기 위한 중요한 연구 자료입니다. 또 살 곳을 잃고 ... ...
해리포터와 불의 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아가미와 작은 힘으로도 강한 추진력을 갖게 하는 물갈퀴까지 얻게 된 해리포터! 두 번째
관문
도 문제 없이 통과할 수 있겠죠.세 번째, 살아 있는 미로트리위저드 대회의 마지막 과제는 바로 안개가 짙게 깔린 복잡한 미로를 헤쳐 나가는 것. 길을 찾을 수 있는 단서는 오직 하나, 바로 우승컵이 놓여 ... ...
전기 회로 꾸미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전기 회로도를 찾아라!이제 전기의 원리와 전기 회로 기호까지 공부했으니 마지막
관문
을 남겨 놓은 하늘이와 샤를롯트를 도와 줄 수 있게 되었다. 49쪽에 나왔던 네 개의 전기 회로도 중 전동기를 돌릴 수 있도록 바로 그려진 것을 찾아보자. 정답은 3번이다. 3번 전기 회로도는 전지의 극과 전선의 ... ...
세종대왕릉의 비밀 통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자세히 보니 그 계단은 모음들로 이루어진 이상한 계단의 방이었다. 이번이 마지막
관문
으로 계단을 지나면 유물이 보관되어 있는 방으로 갈수 있게 되어 있었다. 이상한 모음의 방. 어디로 가야 유물의 방으로 갈 수 있을까? 또 비밀 통로 끝에 숨겨진 유물은 과연 어떤 것일까? 썰렁 홈즈의 ... ...
"토니뽕따이'의 잃어버린 코끼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토니뽕따이. 드디어 마지막
관문
까지 오게 되었다. 썰렁 홈즈와 토니뽕따이는 마지막
관문
까지 통과해서 코끼리를 찾을 수 있을까? 그리고 착시 악당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썰렁 홈즈의 정답 착시 악당은 코비?!“뭐라고 네가 장난친 거라고?”착시 악당은 바로, 코비?! 착시현상을 친구들에게 ... ...
신경세포에서 엿본 영혼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김 교수는 시상핵의 활성을 조절하는 수용체가 제거된 생쥐를 이용해 이런 운동
관문
의 존재를 실험으로 증명하려고 한다. 그가 KAIST에 실험실을 연 것은 지난해 9월. 현재 박사과정 1명, 석사과정 학생 3명이 함께 연구하고 있다. 김 교수는 “원래 전공은 신경과학이 아니었다”고 한다. 그는 KIST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