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고비
고개
언덕
정상
요소
출입문
d라이브러리
"
관문
"(으)로 총 268건 검색되었습니다.
권력자들에게 빼앗긴 서양의 달 이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로마인들은 새로운 한해를 열어 베풀어주는 신이 야누스라고 믿었답니다. 그래서 1년의
관문
과 같은 첫달에 그의 이름을 붙여준 것입니다. ‘야누스의 얼굴’이라는 말은 어떤 사물이 갖고 있는 서로 반대되는 두가지 성질(양면성)을 뜻합니다.2월을 뜻하는 ‘페브루어리’(February)는 ... ...
우주탐험의 지상
관문
세계의 우주센터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비행기로 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주로 공항을 이용하듯이 우주관련 SF물을 보면 우주여행을 떠나고 도착하는 지구기지가 흔히 나온다. 앞으로‘우주시대’인 21세기에는 우주여행이 보편화될 전망이다. 달 이외의 행성에까지 사람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지구에서 우주로 여행을 떠날 ... ...
보물 찾아 떠나는 거울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상이 다섯개 보일 때의 거울 사이의 각과 같다→ 10㎞를 가면 거울나라로 들어가는 첫
관문
이 보인다.왜 그럴까?! 위 활동을 통해 한끝을 맞닿고 있는 두 거울 사이에 물체를 놓았을 때 상의 개수와 거울 사이의 각도의 관계는 다음 표와 같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이들 사이에는 어떤 일정한 규칙이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기대된다. 또한 인천신공항, 평택항 등과 연계해 동북아시대를 이끌어 갈 서해교역의
관문
으로 부각되고, 관광인구의 유입으로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하게 될 것이다.서해대교는 신공법 채택에 따른 전문기술을 축적해 국내 건설기술 수준을 한차원 끌어올려 놓음으로써 향후 건설시장 개방에 ... ...
곧프레이 하디의 어느 수학자의 변명(A Mathematician's Apology)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색채나 단어와 같이, 아이디어도 조화로운 방식으로 어울려야 한다. 아름다움이 첫번째
관문
이다. 이 세상에 추한 모습의 수학이 영원히 자리잡을 곳이란 존재하지 않는다.”하디가 수학의 또다른 핵심적 특징으로 파악한 것은 ‘진지함’이었다. 체스는 그것의 형식과 기법에 있어서 매우 ... ...
라마와의 랑데부(Rendezvous with Rama)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끝에 라마의 표면에 착륙하고, 탐사대원들은 원통형의 한쪽에 붙어있는 복잡한 구조물의
관문
을 지나 라마 안으로 진입하는데 성공한다.라마는 안쪽 공간이 텅 비어있는 거대한 우주선이었다. 그러나 살아있는 물체는 전혀 찾을 수 없는, 마치 주인을 잃은 ‘우주의 방주’ 같은 것이었다. 라마의 ... ...
프로게이머 24시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진출하는 혜택이 주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새롭게 프로가 되려고 하는 사람들의
관문
은 그만큼 좁을 수밖에 없다. 더구나 이미 프로게이머가 된 선수들의 경우 체계적인 훈련과 반복연습을 할 수 있는데 반해 프로게이머를 희망하는 사람들은 주변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 ... ...
4. 신세대 백신 등장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소화기, 호흡기, 비뇨생식기 등의 점막을 통해 전파된다. 병균이 몸에 침투하는 1차
관문
인 셈이다.그런데 현재까지의 백신은 병균이 일단 몸의 특정 부위에 침입한 이후에 이를 제거할 목적으로 개발됐을 뿐이다. 만일 점막에서 효과적으로 면역을 유도할 수 있다면 초기에 감염을 차단해 예방 ... ...
벤처기업가로 나선 이면우 교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절망적 몸부림을 해야 한다. 그러한 고생은 벤처기업을 성공시키기 위해 거쳐야할
관문
인데, 정부가 그 물을 흐려놓고 있다는 얘기다. 물론 정부의 아픔도 있다. 벤처기업이 살아야 국가가 발전한다고 믿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정부가 나선다는 입장이다. 인프라가 잘 발달돼 있는 선진국과 ... ...
용, 아홉가지 동물의 키메라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조선일보 칼럼니스트 이규태 씨는 ‘삼국사기’에 백제 고이왕 5년에 “벼락이 치더니
관문
으로부터 황룡이 날아갔다”는 기록과 조선 명종 9년 진부령 근처에서 “황룡이 승천하는데 큰 나무들이 뽑혀 날아갔다”는 기록을 들어 용과 토네이도의 연관성을 주장했다. 용의 승천에 관한 설명에서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