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맨"(으)로 총 1,2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호기심의 최전선을 꿈꾼다, 최재경 제8대 고등과학원장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소설가가 되겠다고 결심한 뒤 고2 때 문과로 진학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소설책 맨 뒤에 비평가가 남긴 날카로운 비평을 보고 이렇게 색다른 시각을 가질 수 없겠다고 생각했어요. 결국 고3 때 이과로 바꿔 다시 수학을 공부했죠. 여러분도 머리로 떠올리기보다 직접 움직이며 이것저것 해보고 ... ...
- [기획] 무작위하지 않으면 공정하지 않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두 번 섞으면 어떻게 될까요? 처음 섞어서 만든 카드 더미에 붙인 번호를 유지한 채 맨 아래 카드부터 차례로 다시 3장과 2장으로 나눠 쥐고 섞어보겠습니다. 그러면 가장 아래와 바로 위에는 1, 3, 2, 4 중 하나의 카드가 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카드가 올 수는 없기 때문에 무작위하지 않죠. 한 번 ... ...
- [특집] 액자 뒤 단서 - 미스터리 암호 푸는 방법은?수학동아 l2020년 06호
- 글자를 맨 왼쪽 열에서 찾고, 해당 키워드의 글자를 찾을 때까지 오른쪽으로 이동해 맨 위에 있는 평문의 글자를 찾으면 된다. # 코드북을 활용한다! 치머만 전보는 수와 단어가 쌍을 이루는 코드북(난수표)을 이용한 암호다. 이 암호는 암호를 만든 코드북이 있어야만 해독할 수 있어 군사 ... ...
- [과학동아 X 긱블] '밸런싱체어' 파도야 쳐라, 네가 아무리 거세도 나는 흔들림이 없으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일만 남았습니다. 의자 아래를 받칠 알루미늄 상판은 특별 제작을 의뢰해 주문했고, 맨 아래 모터를 받칠 하판은 잭키 님이 직접 스틸 각파이프를 용접해 만들었습니다. 용접은 처음이라 곳곳에 구멍이 송송 나기도 했지만, 작품 완성도에는 별 영향이 없었다고 합니다(응?).조립까지 마치고 최종 ... ...
- [독일유학일기] 단체 활동의 ‘무덤’인 독일에서 즐거움을 찾는 법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한번은 학생회에서 주말 저녁에 모여 논다고 해서 간 적이 있는데, 술 한잔 안 마시고 맨정신으로 새벽까지 마피아 게임만 하다가 돌아온 기억도 있다.지나치게 학구적인 분위기는 내 정서와 맞지 않았고 활동에 큰 재미도 못 느껴 결국 나는 한 학기 만에 학생회 활동을 접었다. 지금은 그냥 학생회 ... ...
- [매스미디어] 3000만큼 사랑해, 블랙 위도우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영화 다음에는 어벤져스 시리즈가 또 나올 예정입니다. 과연 새로운 캐릭터들은 아이언맨과 캡틴 아메리카의 빈자리를 메우고 성공해나갈 수 있을까요? 계속해서 MCU를 지켜봐 주세요! ※참고자료 Matthew Roughan 외 ‘How the Avengers assemble: Ecological modelling of effective cast s ...
- [과학동아X긱블] 마동석도 들 수 없는 페인트통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동안 태정태세 님과 찬스 님은 그 옆에 숨어 초조하게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맨홀에 딱 붙은 페인트통을 있는 힘껏 당길 때 손잡이가 계속 빠졌거든요. 찬스 님이 달려 나와 빠진 손잡이를 글루건으로 고정했지만, 다음 사람이 드니 또 빠져버렸습니다. 급하게 철물점에서 이런저런 ... ...
- 스타워즈 두 개의 태양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어떤 느낌일까요? 지난해 4월, 스타워즈의 팬이자 시각특수효과(VFX)전문가인 워런 위치맨은 VFX 소프트웨어로 스타워즈 속 우주선을 미국 도시에 띄운 영상을 만들었지요. 그는 영상을 통해 “익숙한 장소에 실제로 스타워즈 우주선이 나타나면 어떤 느낌일지 상상하며 영상을 만들었다”고 ... ...
- 오리온의 겨드랑이 별 '베텔게우스' 에 대한 궁금증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증거 있나? “관측 기록, 토양 분석 기록 다수” 외부 은하에서 발생한 초신성 폭발은 맨눈으로 볼 수 없다(대형 전파망원경으로 관찰해야 한다). 오직 지구로부터의 거리가 1000광년 이하인 근지구 초신성만 직접 볼 수 있다. 과학자들은 오래 전부터 근지구 초신성 관측 기록을 남겼다. 덴마크의 ... ...
- [이달의 책] 생명의 나무는 계속 자란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유전적 특성과 일치하는 생물들을 모아 고세균이라는 분류를 창설했고, 이제 계통수의 맨 꼭대기는 고세균이 추가돼 세 그룹에서 시작된다.최근 또 하나의 큰 변화가 계통수를 뒤흔들었다. 그간 진화는 유전자가 부모에서 자식에게로, 또 그 자식에게로 전달되는 수직적 흐름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