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시권 통신망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뉴스
"
맨
"(으)로 총 857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북선, 400년 만에 특허받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6.07
기울어진 배를 바로 세우는 힘인 복원력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판옥선의
맨
윗층을 덜고 지붕을 얹어 2층 거북선을 만들었다는 주장도 나와요. 하지만 이 경우 노 구멍과 포 구멍이 있는 2층 갑판 가장자리에 노 젓는 군사와 포를 쏘는 군사들이 뒤섞이게 됩니다. 이동하며 공격하기 ... ...
벽·징검다리도 문제없다…험지 질주하는 KAIST 로봇 '라이보'
동아사이언스
l
2025.06.03
KAIST 연구팀이 개발한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가 경사면을 연속으로 뛰어넘으며 질주하는 모습. KAIST 제공 지난해 11월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한 KAIST의 사족보 ... 고 말했다. - doi.org/10.1126/scirobotics.ads6192 황보제민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맨
앞줄 오른쪽에서 두 번째) 연구팀. KAIST ... ...
박홍근 하버드대 교수 "양자 전문가 그룹 제대로 꾸려야 옥석 가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9
양자과학기술은 임계점까지 도달하기 위해 아직 할 일이 많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
맨
처음 인터넷을 만든 사람들은 지금 인터넷으로 페이스북 같은 걸 한다는 생각은 전혀 못 했을 것"이라며 "양자 분야도 기반 기술이 나오고 나면 지금 생각하지 못한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이 등장하고 그를 ... ...
"의정갈등 여파로 생긴 의학연구 공백은 10~20년 간다"
과학동아
l
2025.05.10
논문의 월별 비중(%). 모든 저자가 한국 기관에 소속된 연구가 특히 큰 감소세를 보였다(
맨
왼쪽).이로운 교수는 "의학 연구의 공백이 아직은 미미해 보일지라도 2025년 이후로는 더욱 심화될 것"이라며 "이는 더 넓은 연구 생태계의 붕괴를 초래한다"고 경고했다. 또한 "연구에 차질이 지속된다면 ... ...
달걀에도 신분증이 있다?…난각번호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4.05
달걀 껍데기인 난각에 달걀이 나온 날짜와 장소, 환경을 담고 있습니다. 난각번호
맨
뒷자리 수는 달걀이 산란된 환경을 담은 번호로 1번부터 4번까지 있어요. 4번은 한 마리 닭이 사는 면적이 0.05m2인 케이지를 의미해요. A4용지보다도 좁은 면적입니다. 3번은 이보다 더 넓은 0.075m2 면적당 한 마리 닭이 ... ...
[미리 보는 노벨상]② 인류를 위한 에너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과학동아
l
2025.03.01
태양광을 흡수해 전자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된 전자는 전자수송층을 통해 이동하며
맨
위의 전극층은 전류를 외부로 전달한다. 이런 다층 구조는 높은 광전 변환 효율을 지원한다. Solliance, Fabian Ruf 제공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아토초(100경분의 1초) 연구도 2023년 심포지엄에서 다뤄졌고 201 ... ...
[사이언스게시판] 재료연-한화에어로스페이스 기술교류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25
검토됐다. ETRI는 지난해 10월 토론회와 이번 전략발표회 의견을 반영해 올해부터 에이블
맨
국가전략프로젝트에 대한 상세 기술기획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미·중 기술 패권과 트럼프 2기: 바이오 기술의 게임체인저 전략’을 주제로 한 KISTI 이슈브리프 ... ...
우크라이나 전쟁 3년…난리통에도 연구 보조금 끊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25.02.22
1월 1일 사망했다. 러시아의 드론이 키이우 페체르스키 지역의 한 아파트를 강타해
맨
위 2개 층을 파괴했다. 사이좋은 부부이자 직장 동료였던 두 명의 과학자는 그렇게 목숨을 잃었다. (doi: 10.1126/science.zyyikmx) 지마 교수는 우크라이나에서 잘 알려진 과학자였다. TV 다큐멘터리에 출연했고 대중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대이하 소행성 '베누' 시료…과학에 절제도 필요
2025.02.19
홍보했다. 회견장에는 박사후연구원으로 실험을 주도한 울프사이먼도 나왔는데(
맨
왼쪽) 반짝스타가 된 뒤 역풍을 맞아 학계에서 퇴출됐다. 그 뒤 다른 일을 하며 생계를 유지하다 최근에야 작은 프로젝트의 연구비를 확보해 재기를 노리고 있다. NASA 제공 기사는 2010년 연구를 주도한 미생물학자 ... ...
설 연휴, 층간소음을 막아줘…'데시벨 35랩'에 가다
과학동아
l
2025.01.25
재질과 탄성 코어로 구성된 복합완충재를 사용해 충격 흡수 성능을 강화했습니다. 또한
맨
아래층인 슬래브는 두께를 210mm에서 250mm로 늘리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일반 몰탈을 모두 고밀도 몰탈로 변경했어요. 이를 통해 바닥 구조의 강성을 높여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됐습니다. 정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