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정보엔진 나왔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가장 빠른 ‘정보엔진’이 개발됐다.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 연구팀은 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입자를 용수철 끝에 매달고 레이저 빔을 마치 집게처럼 써서 일정 범위 내에 가두는 방법으로 속도가 빠른 정보엔진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1 ... ...
- [특집] 비건 패션, 트렌드가 되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모피의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3D 프린팅 기술을 선보였다. 연구팀은 50µm(마이크로미터·1µm는 100만분의 1m) 두께의 구조물 수천 개를 제작했다. 머리카락 두께로 촘촘히 인쇄된 털은 마치 고급 모피처럼 부드러운 촉감을 가졌다. 하지만 다양하게 개발된 신소재가 상용화돼 실제 제품으로 소비자와 ... ...
- 1년 동안 지구에 내리는 우주먼지는 얼마나 될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주는 다른 이물질이 거의 없다. 연구팀은 해당 지역에서 입자의 지름이 30~350µ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인 우주소구체(대기를 통과하며 녹은 미세운석) 808개와 얼어 있는 미세운석 조각 1280개를 수집했다.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지구 전체에 같은 양의 우주먼지가 내린다면 매해 5200톤(t)의 ...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다른 큰 업적으로 지난해 12월 앨리스팀이 발표한 연구결과를 꼽았다. 윤 교수는 “1펨토미터(1000조분의 1미터)의 초미시세계에서 일어나는 입자 간 상호작용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기술을 완성했다”며 “LHC의 연구결과 중 CMS팀과 LHCb팀 연합으로 발표한 논문을 제외하고 단독팀으로는 최초로 ... ...
-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이해하기에 앞서 필요한 배경 지식을 짚어봅시다. 가시광선의 파장은 약 5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입니다. 독일의 물리학자 에른스트 아베가 만든 공식에 따르면 광학현미경이 구분해 관측할 수 있는 물체의 최소 크기는 파장의 절반입니다. 약 250nm보다 작은 크기의 대상을 가시광선으로 ... ...
- [과학동화] 동화 나라 인기템 ‘무지갯빛 유리구두’ 신데렐라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그리고 다시 백금층이 시루떡처럼 쌓인 구조라는 겁니다. 백금층 두께는 각각 25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와 35nm고, 유전체층은 150nm 정도로 각 층은 아주 얇습니다.색이 변하는 마법 같은 일은 유전체층에서 일어납니다. 빛의 특정 파장이 통과하지 못하고 그 안에 갇히기 때문입니다. 갇히는 ... ...
- [한페이지 뉴스] 구리를 360가지 색으로 알록달록하게 만드는 법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단위로 쌓을 수 있는 장치인 ‘원자 스퍼터링 에피택시’를 개발했다. 그리고 0.2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두께의 얇은 단결정 구리 박막을 만든 뒤 산화층의 두께를 원자층 수준으로 제어했다. 그 결과 360가지 이상의 총천연색을 띠는 구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구리의 산화층 두께에 따라 ... ...
- [한페이지 뉴스] 공기 희박해도 OK 빛으로 비행하는 비행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photophoresis)’ 현상을 이용했다. 플라스틱 재질로 된 지름 6mm의 디스크에 0.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두께로 탄소나노튜브(CNT)를 코팅한 재료로 비행체를 제작했다. 디스크 하부에 탄소나노튜브를 코팅하면 주변 공기와의 열흡수율 차이로 광영동 효과가 발생하고, 디스크 하부의 공기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갑자기 찾아온 추위가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아주 작은 과냉각물방울*이나 얼음 조각(빙정)으로 변하지요. 이 크기는 1μm(마이크로미터, 10-6m)로, 머리카락 굵기보다도 작답니다. 수증기가 과냉각물방울이나 빙정이 되면 우리 눈에 하얗게 보이면서 구름을 이뤄요. 영하 30℃보다 온도가 낮은 곳의 구름 입자는 주로 빙정이고, 영하 30℃에서 0℃ ... ...
- 3가지 혁신의 열쇠... 사람들은 왜 애플카에 열광할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자체 설계해 지난해 11월 출시한 애플 실리콘 ‘M1’이 대표적인 예다. 애플은 5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공정을 사용해 하나의 칩에 CPU와 GPU는 물론, 기계학습을 지원하는 뉴럴 엔진과 메모리, 보안 칩, 각종 입출력 컨트롤러까지 약 160억 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했다. 10~14nm 공정을 사용하는 인텔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