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진"(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정재승의 인간탐구보고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먹는 행동이 감정 조절과 관련 있다는 연구를 발표했어요. 또 올해 2월, IBS 신희섭 단장 연구진과 눈동자를 좌우로 움직이는 것이 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PTSD)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밝혔답니다. 에도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거나 선택을 할 때 뇌가 어떤 식으로 작동하는지 ... ...
- 노릇노릇 보기 좋은 빵이 맛도 좋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537℃ 이상의 특수 오븐이 필요했지만, 이 레이저는 쉽게 그래핀을 만들 수 있어요. 연구진이 개발한 레이저는 먼저 그래핀을 만들 재료의 겉을 태워 탄소를 만들어요. 그리고 이 탄소에 700~1200mm 파장의 적외선을 쏘지요. 이 적외선을 흡수한 탄소는 그래핀 구조로 바뀌어요. 이 과정은 단 몇 밀리초 ... ...
- 누구나 먹을 수 있는 빵을 만들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알레르기 줄인 빵 만든다지난해 8월, 68개국 2400여 명의 과학자들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진은 전 세계에서 90% 이상 재배되는 ‘차이니스 스프링’이라는 밀의 유전체를 95% 해독하는 데 성공했어요. 2005년, 밀 유전체 해독 연구를 시작한 이후 13년 만의 일이에요. 밀 유전체의 염기쌍 수는 160억 ... ...
- 빵이 부푸는 원리를 이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빵을 만들거나 주변 사람에게 나눠줄 수 있어요. 시민과학자가 보낸 샘플을 받은 연구진은 효모 DNA를 보내기 전과 비교해 효모가 어떤 환경에서 어떻게 변화했는지 분석하고 있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가 탐정 사무소를 찾은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주삿바늘은 어른, 아이 구분 없이 공포의 대상인 경우가 많아요. 그런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주삿바늘에 대한 거부감을 없앨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지난 8월 1일, 숭실대학교 배원규 교수와 울산과학기술원 정훈의 교수 공동 연구팀은 반창고처럼 붙이기만 해도 몸속으로 액체 약물을 넣을 수 ... ...
- [만화뉴스] 루빅스 큐브를 1초 만에 푸는 AI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30회 이하로 움직여 정답을 찾도록 연습시켰어요. 1000번 반복 연습한 딥큐브에이는 연구진이 낸 문제를 평균 1.2초 동안 20회 움직여 답을 찾아냈답니다.연구를 이끈 피에르발디 교수는 “루빅스 큐브를 풀려면 상징적, 수학적, 추상적 사고가 필요하다”며 “AI가 점점 더 인간의 사고 능력에 ... ...
- [가상인터뷰] 알끼리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경고음을 들은 알들이 경고음을 듣지 않은 알들에게 위험 정보를 전해줬기 때문이야. 연구진은 “이 결과는 알에서도 서로 위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단다. 다른 동물들도 태어나기 전 위험을 대비해? 우리 말고도 다른 새들이나 악어, 거북이, 개구리 등 알에서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진, 막대나선은하의 형성 비밀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회오리 모양의 은하를 ‘나선은하’라고 해요. 나선은하는 형태에 따라 다시 정상나선은하와 막대나선은하로 나눌 수 있지요. 동그란 중심부에서 나선 모양의 팔이 직접 뻗어 나오면 ‘정상나선은하’, 막대 모양의 기다란 구조에서 회오리 형태의 팔이 나가면 ‘막대나선은하’라고 한답니다. ... ...
- 양자우월성 배 라이벌 매치, 구글 VS IBM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온라인 논문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와 블로그를 통해 반박했어. IBM의 양자컴퓨터 연구진은 가장 이상적인 환경에서 시뮬레이션해보니 같은 문제를 2.5일이면 풀 수 있고, 조건을 좀 더 개선하면 시간을 더 줄일 수도 있다고 말했어.IBM은 슈퍼컴퓨터는 오래전부터 쓰고 연구해왔기 때문에 ...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소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11월 13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만난 연구진은 ‘소재 드림팀’이었다. 이종호 에너지소재연구단 책임연구원은 UST가 설립된 2004년부터 교수로 활동하면서 지금은 U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스쿨 나노-정보융합전공 주임교수를 맡아 KIST의 ‘소재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