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진"(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기능을 완벽하게 재현하지는 못한다. 아직 상용화 되지는 않았지만, 2017년 핀란드 연구진이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인공 홍채를 개발한 적이 있다. 아리 프리메기 핀란드 탐페레공대 화학생명공학과 교수팀은 빛에 반응하는 액정 엘라스토머(탄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로 인공 홍채를 만들어 ... ...
- Part 5. 인류의 진화는 지금도 진행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원주민 바자우족의 유전자를 분석했어요. 바자우족은 뛰어난 잠수능력으로 유명한데, 연구진이 바자우족의 유전자를 육상 생활을 하는 다른 부족과 비교했더니 ‘PDE10A’라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음이 밝혀졌어요. 이 돌연변이가 잠수능력에 영향을 주는 비장이라는 기관을 크게 만들어 ... ...
- [과학뉴스] 움직이는 후각 유전자가 냄새 구별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미국 연구진이 그동안 베일에 싸여 있던 후각의 비밀을 푸는 데 성공했다. 스타브로스 롬바르다스 미국 컬럼비아대 신경과학과 교수팀은 쥐 실험을 통해 한정된 수의 유전자만으로 수많은 냄새를 구별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월 9일자에 발표했다. 인간의 경우 1 ... ...
- [과학뉴스] 3D 프린터로 척수 임플란트 제작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미국 연구진이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척수 손상을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 마크 투진스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신경과학과 교수팀은 3D 프린터로 제작한 척수 치료용 인공 임플란트를 척추 부위에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의학’ 1월 14일자에 발표했다 ... ...
-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약물의 효과를 테스트하는 동물 실험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지 않을까. 최근 미국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그 가능성을 열었다. 쥐의 언어를 분석하는 인공지능(AI)을 개발했다. 닭과 개의 소리를 인식하는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도 이미 등장했다. 동물의 언어를 이해하는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재료 연구 등 하고 싶은 활동을 많이 했다. 특히 글쓰기를 좋아했던 한 씨는 한국극지연구진흥회가 주최하고 동아사이언스가 주관하는 2015년 제6회 ‘전국학생극지논술공모전’에서 대상(해양수산부 장관상)을 수상해 북극을 다녀오기도 했다. ‘뜨거운 얼음, 북극의 열을 내리려면’이라는 ... ...
- [과학뉴스] 바이러스로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 높여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국내 연구진이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김찬 분당차병원 종양내과 교수팀은 바이러스를 이용해 면역관문억제제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클리니컬 캔서 리서치’ 2018년 12월 11일자에 발표했다. 면역항암제로도 불리는 ... ...
- Part 4. 美 민간 기업과 손잡고 2026년 달 정거장 만든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시스템 등 기초 기술 분야에서도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애스트로보틱 연구진들은 랜더가 착륙 예상 지점에서 100m 이내에 정확하게 착륙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이 없는 캄캄한 달 표면에서 로버가 길을 찾을 수 있는 특수한 내비게이션 기술을 개발 중이다. ... ...
- [이달의 PICK] 한반도에서 자취 감춘 호랑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동물은 서로 게놈 서열이 비슷하고 염색체 개수가 같아 교배도 가능하다. 국내 연구진이 호랑이 게놈 지도를 이용해 백호랑이, 사자, 설표범의 게놈 지도를 ‘리시퀀싱(한 종의 게놈 지도를 기준으로 유전적으로 가까운 다른 종의 게놈 지도를 간접적으로 알아내는 것)’ 할 수 있었던 이유다. 조 ... ...
- Part 2. 열기구에서 이온비행기까지, 비행기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스티븐 바레트 교수팀이 이온풍으로 나는 ‘이온풍 추진 비행기’를 만든 거예요. 연구진은 글라이더 모양의 비행기를 만들고, 날개 아래쪽에 비행기를 지탱하는 뼈대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뼈대의 앞쪽에 2만 볼트의 양극을, 뒤쪽 뼈대에 2만 볼트의 음극을 두었지요. 여기에 전류를 흘리면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