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카로움
d라이브러리
"
예민
"(으)로 총 455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부는 장식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펜실베이니아대 교수가 쓴 ‘스킨, 피부색에 감춰진 비밀’을 읽어보면 피부가 얼마나
예민
하고 복잡하며 중요한 장기인지 깨달을 수 있다. 이 책의 원제는 ‘피부(Skin)’. 여기에 ‘자연사’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진지하게 연구되지 않던 피부의 모든 것을 다루고 있다는 자신감이 느껴진다. 반면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앞서 먼저 상어의 능력을 검증해 봤다. 수중에서 상어가 얼마나 잘 움직이는지, 전극의
예민
한 변화를 어느 정도까지 느끼는지, 화학물질의 자취를 후각으로 어떻게 추적하는지 등을 살펴봤다. 이어 상어의 뇌와 신경에 전극을 심어 상어의 다양한 능력과 기능을 발동시키는 조건을 탐색했다. ... ...
스파이더맨과 애니멀 어벤져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심지어 질감까지도 느낄 수 있지. 보통 박쥐가 이 정도인데 다른 박쥐보다 청력이 더
예민
한 작은갈색박쥐는 얼마나 세밀하게 주변 환경을 파악하겠어. 모기 잡는 건 약과야. 머리카락보다 가느다란 물체도 슥슥~, 민첩하게 피한다니깐. 물고기가 만들어내는 물결파장을 탐지해서 수면 아래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름 레이저간섭중력파관측소(LIGO)소속 MIT, 칼텍 등 공동연구특징 지구에서 가장 ‘
예민
한’ 실험실.날짜 2002년 8월 23일(건설일. 성능은 계속 개선됨)죽음보다 차가운 방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은 어디일까. 극지역을 제외하고는 북위 63°에 위치한 구소련의 시베리아 오이미야콘 마을이 1933년 기록한 ... ...
수학 - 수학으로 쓴 감각의
예민
함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로그함수 그래프는 완만하게 상승하지만 지수함수는 가파르게 상승한다. 이러한 특징이 어디에 활용되는지 고민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번 호에서는 소리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위인 데시벨과 베버법칙의 수학적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기회가 줄어들었고 그 결과 면역계가 할 일이 없어졌다는 것. 그러자 면역계가 점점 더
예민
해져 예전에는 거들떠보지도 않았던 사소한 자극에도 일일이 반응하는 면역 과민 반응을 일으켜 결국은 몸에도 해로운 아토피, 기관지 천식 등 각종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난다고 설명한다.우리나라에서도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지문의 기능을 다른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다. 즉 지문은 미끄럼 방지 기능 보다는 촉각을
예민
하게 하기 위한 구조라는 것. 연구자들은 말단의 신경 역할을 하는 촉각센서를 만든 뒤 하나는 표면이 매끄러운 재질로 감싸고 하나는 손가락 끝 피부처럼 미세한 요철이 있는 재질로 감쌌다. 그리고 유리 ... ...
순간 포착! 동물생애 최고의 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있수?구멍 밖으로 고개만 살짝 내밀어 누가 왔나 살피고 있어요. 짱뚱어는 겁이 많고
예민
하기 때문에 눈앞에 약간이라도 움직이는 물체가 보인다 싶으면 바로 구멍 속으로 숨어 버려요. 짱뚱어 부부, UFO 발견?‘우와~!’ 입을 쩍 벌리고 한 곳을 응시하며 놀라고 있어요. 앞에 있는 녀석은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분포한다.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는 길에서 다른 동물들은 넘어지기가 쉽지만 고양이는
예민
한 발바닥을 밀착해 안정한 자세로 걷는다. 고양이는 긴장하면 발바닥에서 땀을 내 미끄럼을 방지한다. 지상에서 가장 큰 동물인 아프리카코끼리는 6t이나 되는 몸무게를 버티기 위해 발이 진화해왔다. 다른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적이 있을 것이다. 개는 사람보다 4배나 먼 거리의 소리를 들을 수 있고 청각이 15배 정도
예민
하다고 한다. 또한 사람이 들을 수 없는 높은 음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개를 부를 때 초음파를 사용하기도 한다. 개는 귀를 움직일 수 있어서 소리의 방향을 잘 알아차린다. 소리의 방향은 양쪽 귀에 소리가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