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카로움
d라이브러리
"
예민
"(으)로 총 45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섞일 수 있지만, 클리커 소리는 변함이 없고 주위 소리와 확실히 구별된다. 개는 청각이
예민
하기 때문에 개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려면 항상 같은 소리를 내야한다. ‘딸깍’, 이 소리로 개는 자신의 행동이 옳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이 과정을 반복해 개가 행동을 완전히 익히면 그 행동의 이름이 '앉아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흘러가도록 만들었다. 그래서 시민들은 강과 하천에서 헤엄치고 물을 떠 마시는 데 전혀
예민
하지 않다.EAWAG의 과학자들은 좀 더 재미난 하수 처리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가정마다 하수 처리 시스템이 있어도 인구 밀집 지역에서는 오염될 수밖에 없다는 생각에서, 그들은 ‘큰 것’과 ‘작은 것’을 ... ...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많다. 화성의 하늘이 붉게 보이는 것도 이 먼지 때문이다. 건조하고 미세한 먼지는
예민
한 전자 장비를 고장 낼 수도 있다. 허파에 들어가면 건강에도 좋지 않다.그때 누군가가 웃음을 터뜨렸다. 한번 웃음이 터지자 마치 전염병처럼 다 같이 웃기 시작했다. 웃음이 그치자 새 대원 중 하나가 말했다. ... ...
도~전! FLL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D.Y.B 팀 협동심의 노하우는 싸움이라지 뭐야? 밤늦게까지 대회를 준비하거나 서로 신경이
예민
해져 있을 때, 싸우기도 무척 많이 했다고 해. 하지만 싸우면서 서로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더 잘 이해하게 됐다는 거야. 챔피언의 노하우가 실패와 싸움이라니, 이건 별로 어렵지 않겠는 걸?모두가 ... ...
사랑으로 다시 쓰는 신 애완동물 과학백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4호
다 이유가 있어. 난 더운 사막에서 살기 때문에 이 큰 귀로 열을 식히거든. 사막여우는
예민
한 성격이라 큰 소리를 내거나 우리가 깜짝 놀랄 만한 행동은 조심해 줘~!깜짝 인터뷰‘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안녕하세요! 저는 5기 명예기자 조이안(온수초등학교 5학년)이에요. 애완동물 특집 기사에 ... ...
“빛이 있으라” 진공에서 튀어나온 빛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거울 대신 거울 역할을 하는 전자회로를 이용했다. 이 전자회로 거울은 자기장에 매우
예민
한 초전도 양자간섭장치(SQUID)로 만들었다. 자기장의 방향을 1초에 수십억 번 바꿔 거울이 광속의 25%로 진동하도록 만든 것이다.그 결과 진공에서 광자가 쌍으로 나타났고, 연구팀은 이를 마이크로파방사 ... ...
구제적인 목표가 열정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않다. 머리가 아프고 매일 설 사를 한단다. “좋은 컨디션에서 시험 본 적이 없어요.” “
예민
하구나. 앞으로 살면서 시험을 100번은 더 볼 거야. 그 때마다 긴장하면 안 돼. 네가 열심히 했고 본인이 그걸 안다면 여유가 생겨. 그냥 깔끔하게 아는 건 맞고 모르는 건 깨끗이 틀리면 돼. 모르는 것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에 앞서 지난해 9월 미국 스탠포드대 제난 바오 교수팀은 인간 피부보다 약 1000배나 더
예민
한 인공피부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피부는 압력에 의해 쉽게 휘어지지만 곧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 폴리머 소재다. 나비 한 마리의 무게도 느낄 만큼 압력에 민감하다. 올해 초에는 화학물질을 ... ...
통증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이는 어디까지나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다. 오히려 정신적 충격으로 지나치게 통증에
예민
해지는 환자는 더러 있다. 남순처럼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일은 현실에선 쉽사리 찾아보기어렵다.만일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환자가 있다손 치더라도 미각을 함께 느끼지 못한다는 설정은 과학적 근거가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뜻으로, 반복되는 ‘이사’에 스트레스를 받기 쉽다. 베렌바움 교수도 “꿀벌은
예민
하기 때문에 이동하는과정에서 쇠약해지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생물이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방법은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단백질을 생산하는 것이다. 적절한 때에 적절한 단백질을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