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높은 파도
폭풍해일
d라이브러리
"
해일
"(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산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그때 수반한 마유야마(眉山) 대붕괴라고 불리는 대지변(地變)과 그에 의해 유발된
해일
에 의한 피해는 인류역사 유수의 화산재해로 알려져 있다. 마유야마 대붕괴는 운젠악 동쪽 텐구산(天狗山)동사면에서 일어난 큰 규모의 산사태다. 이번의 분화는 운젠산의 주봉인 보현악(普賢岳)에서 폭발했다 ... ...
상처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만일 유성이 그 대양에 부딪쳤더라면 일어났을지도 모르는 거대한 쓰나미(tsunami), 즉
해일
의 표시를 찾아보았다. 결국 그들은 콜롬비아 바로 북쪽에 위치한 카리브해 바닥에서 함몰부위를 찾아냈다. 그것의 너비는 약 1백80마일이며 분화구의 남겨진 모습은 원형 그대로일 것이다. 힐드브랜드씨와 ... ...
산불의 냉각효과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산불을 일으켰고 이 불은 지상의 많은 부분에 번져 나갔을 것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해일
과 산불이 있었으리라는 시사들이 남아있다.더군다나 충돌로 인해 대기의 상층에 많은 먼지가 쌓였고 또 산불로 연기가 자욱해져 상당기간 동안 햇빛이 지표면에 닿기가 어려웠으리라는 것이다. 그런 ... ...
아프리카의 모래
해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서부 사하라에서 시작되는 잃어버린 대지 '사헤르'지대. 마을과 녹지대를 모래가 삼켜버린 불모의 땅을 로버트 카파상 수상 카메라맨이 생생하게 포착하여 그 모래지옥을 펼쳐 보인다. 아프리카대륙을 가로질러 덮고있는 모래경계선은 대체 어디까지 계속되어 있는가. 사진르포작가 '스티브 맥커 ... ...
시베리아에서 있은 폭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일어날 수 있었던 유일한 장소라는 것이다. 만약 그것이 바다에서 일어났다면, 급격한
해일
을 일으켰을 것이다. 그리고 그 밖의 지구 어디에선가 일어났다면,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죽었을 것이다. 둘째, 그런 사건이 지금 소련 혹은 미국에서 일어났다고 가정해보자. 그런 폭발은 적의 핵 ... ...
여름태풍과 가을태풍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2백19, 피해액 1백29억의 규모였다.최대풍속 45m로 바다에는 격랑이 일었고 해안에서는
해일
이 생겼다.등온선이 중국북부에서 동쪽으로 뻗어 태풍을 중심한 소용돌이바람은 태풍의 동쪽이 강했고 서쪽이 약했다. 이것은 동쪽에 고기압이 있고 서쪽에는 중국 북부에 저기압이 있었다. 그리고 등온선과 ... ...
Ⅲ바다의 폭도-
해일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리차만의
해일
산 사태도
해일
을 일으킨다. 1958년 7월9일에 일어난 알래스카 리차만의
해일
높이는 문자 그대로 세계 최고였다. 리차만은 움푹하게 들어간 길이가 불과 11㎞ 뿐인 작은 만이지만 T 자형으로 된 만 안의 북쪽하구 동쪽 기슭에서 대규모의 산사태가 일어났다. 이때문에 만안의 물이 ... ...
Ⅱ바람과 바다의 협주곡-풍파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40㎝보다 깊은곳, 즉 보통 바다에서는 풍파는 표면파로 보이게 된다. 한편 주기가 10분인
해일
의 파장은 난바다에서 1백20㎞, 주기가 12시간인 조석의 파도에서는 파장이 난바다에서 9천㎞까지나 되므로 이런 파도는 지구상의 바다의 어디에서나 천해파로 보이게된다. 따라서 연안 가까이에서의 풍파나 ... ...
자비에 피숑 선장 인터뷰 대재앙 예고된 일본 열도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궁금해하는 사람은 물론 일본인들입니다.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빈번했던 지진
해일
화산폭발 등을 일으키며 태평양 해저가 현재의 일본열도가 자리잡고 있는 지대 밑으로 사라진지는 약 2백만년이 지났읍니다. 결국 현재의 일본열도는 2백만년전에 생긴 것입니다. 일본인들은 지금까지 ... ...
해양정보시스템 태풍 피해의 최소화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각 주요항에 쯔나미의 도달시간이 스크린에 바로 나타난다. (그림5)는 1983년도의 동해
해일
의 경우, 지진 진원지의 위치와 발생시간을 입력하여 동해에서 쯔나미의 전파 시간을 보여주고 있다. 원격탐사기술도 활용 천해파랑관측에는 수중 수압식이 주로 많이 이용되고 초음파식, 가속도식도 가끔 ... ...
이전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