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높은 파도
폭풍해일
스페셜
"
해일
"(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근거 없는 '괴담'
2023.05.09
‘들러리’일 뿐이라는 주장도 억지스럽다. 동일본 대지진으로 발생한 재앙적인 지진
해일
로 벌어진 참혹한 사고의 뒷수습을 우리의 막연한 불안을 핑계로 무작정 거부할 수는 없는 일이다. 우리에게 얼마나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일이 꼭 필요하다. 물론 우리에게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엉터리 정보 경계해야
2023.03.07
2021년 시뮬레이션의 예측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동일본 대지진 및 쓰나미(지진
해일
) 당시 미야기(宮城)현 게센누마(氣仙沼) 해안으로 밀려온 어선. 연합뉴스 제공 ● 일본의 안타까운 현실 그렇다고 일본의 오염수 방류에 대한 우려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실제 방류가 이루어지는 후쿠시마 ... ...
[기후위기와 산림] 현대판 '노아의 방주'에 소나무를 태우려면
2022.10.13
‘2012’에선 대도시를 무너뜨리는 지진과 화산폭발, 히말라야 산맥까지 집어삼키는
해일
등 거대한 자연재해 속에서 인류가 유일하게 살아남을 수 있는 수단으로 거대한 현대판 '노아의 방주'가 등장한다. 지난 9월 9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는 ‘기후임계점’ 평가 결과가 공개됐다. ... ...
[표지로 읽는 과학]2022년 1월 통가 화산 폭발이 과학에 남긴 숙제
동아사이언스
l
2022.07.03
1만km 이상 떨어진 곳에서도 감지됐다. 연구팀은 화산 폭발 직후 발생한 쓰나미(지진
해일
)가 직접적인 지각활동에서 발생한 결과가 아니어서 육지를 가로질러 거의 모든 지구의 주요 해양 분지로 이동한 현상도 포착했다. 연구팀은 지구 초저주파와 전리층에도 영향을 미쳤다. 일본 ... ...
국내 원전 수소폭발 방지장치 검증 실험서 화염...후속실험서 반복되면 안전성 문제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일 처음 시행됐다. PAR는 원자로 격납건물 내부의 수소 농도를 낮추는 장치다. 지진이나
해일
같은 대형 재난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원전 내 수소 농도를 낮춰 폭발을 막는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서도 격납용기 내부의 수소가 제거되지 않아 폭발이 일어났다. 한국도 후쿠시마 원전 사고 ... ...
통가 화산 폭발이 남긴 과학의 숙제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1
김 교수는 “일본 기상청이 예측하지 못할 정도로 일찍 도달한 첫 쓰나미는 기상
해일
, 그 뒤 쓰나미는 산사태가 원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통가 화산 폭발 후 일본뿐 아니라 훨씬 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미국 알래스카와 캘리포니아, 심지어 남미의 칠레 코킴보에까지 쓰나미가 발생했다 ... ...
지난달 27일 그린란드 얼음 하루만에 85억t 녹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1
토마스 슬래터 영국 리즈대 교수는 “빙하 소실과 함께 전 세계 해안 도시가 폭풍
해일
로 인한 홍수에 취약해졌다”며 “21세기 말까지 전 세계 해수면이 약 2~10cm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 ...
[지구는 살아있다] 강원도 고성 '위태위태' 서낭바위를 깎은 자연의 조각가
2021.06.26
파도가 세면 얼마나 세겠냐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먼바다에서 지진이 발생해 거대한
해일
(쓰나미)이 닥치면 절벽이 통째로 무너기도 합니다. 파랑 침식은 파도의 세기는 물론 암석의 종류에 따라서도 달라집니다. 광물이 조밀하게 차 있는 화성암보다는 입자가 쌓여 굳은 퇴적암이 무른 편이라 ... ...
신한울 1호기 운영허가 '불발'…다음 회의에 재상정
동아사이언스
l
2021.06.11
둘러싼 논란이다. PAR는 원자로 격납 건물 내부의 수소 농도를 낮추는 장치로 지진이나
해일
같은 대형 재난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원전 내 수소 농도를 낮춰 폭발을 막는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서도 격납용기 내부의 수소가 제거되지 않아 폭발이 일어났다. 한국은 후쿠시마 원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두 번째 팬데믹'을 슬기롭게 극복하려면
2021.05.23
또한 명확하면 그 불안은 금방 해소될 수 있다. 하지만 눈이 올지 비가 올지 아니면
해일
이 덮쳐올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는 시도 때도 없이 경보가 울린다. 경보가 울려도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불안→ 행동→ 문제 상황과 불안 해소'의 적응적인 루트를 타기보다 '불안→ ...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