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자갈"(으)로 총 20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수 겁집사의 거북이 키우는 법!기사 l20200302
- 여름에는 거북이들이 먹이를 많이 먹고 배변도 많이 누기 때문에 하루에 한 번씩 청소해 주어도 나쁘지 않습니다. 또한 수조 바닥에는 자갈이나 작은 돌을 깔아 주어도 좋아요. 여러분들이 이 기사를 읽고 많은 것을 알게 되셨기를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 ...
- 왕초보 집사의 체리새우 키우기!기사 l20200217
- 키우시는 많은 분들이 고민하시는 것이 바닥재랍니다. 바닥재는 바닥에 까는 모든 재료를 뜻해요. 여기서는 어항에 까는 모래와 자갈 등을 의미하겠죠? 새우는 적응력이 빨라서 흑사, 소일, 탱크어항(바닥재가 없는 어항) 등 모든 곳에서 잘 살 수 있어요. 하지만 소일을 깔아주면 안정성도 유지가 되고 발색이 잘 나온다고 해요. 블랙샌드 또한 발색이 잘 ...
- 계곡의 낚시꾼,먹닷거미 키우기기사 l20200127
- 것 같습니다.(나무는 썩습니다) 4.식물 필수는 아니지만 서식지 재현에 도움이 되니 넣는 게 좋습니다.(고사리,이끼 등) 3.셋팅 먼저,자갈을 깔고,그 위에 긴 돌을 2개 정도 놓고,필요하면 식물을 식재하고, 돌이 3분의 1정도 잠기도록 물을 넣으면 끝 입니다. (셋팅된 사육장) 4.관리 거미의 배가 배갑보다 조금 큰 정도로 유지하며 일주일에 ...
- (╥﹏╥) 배고파아아ㅠㅠㅠㅠ포스팅 l20200123
- 빨리 저녁 먹고 싶은데에...[출처:유튜브]대체 왜 5시일까나요오.....흑흑 모래모래 자갈자갈..흐아아....기다려랏 샤브샤브야아..!!!!! ...
- 지난 여름방학 다녀온 '안광국' 교수님과의 민물고기 탐사탐사기록 l20191027
- 경우일 가능성이 크다고도 배웠다. 투망과 족대만 있으면 생태계의 건강도를 체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도 유익했다. 돌자갈에 이끼가 많으면 유속을 좀 더 빨라지게 개선해야한다는 것도 알게 되고, 1급수 물고기와 수성곤충들이 많은 곳은 수질평가 점수가 좋게 높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반면에 외래종과 내성종 민물고기가 많으면 수질의 개선이 ...
- 참가후기!기사 l20191014
- 사용 받침대, 터빈 날개 뚜껑, 터빈과 배터리, 터빈 날개 가드입니다. 터빈 날개 가드는, 이 제품의 핵심이 바로 터빈의 날개이므로, 자갈 등으로부터 날개가 손상괴는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해주는 부품입니다. 조립을 마치고 청계천으로 이노마드 우노(이하 우노) 를 설치하러 나갔습니다. 저희는 실족(미끄러짐)과 수심 등의 안전문제로 이노마드의 직원 ...
- 빗소리가 나는 악기? 레인스틱기사 l20190911
- 찾는다. 2.선인장 속을 잘라내고, 가시는 빼서 따로 모아둔다. 3.모아둔 가시들을 안쪽에 박는다. 4.선인장의 한쪽 끝을 막고,안쪽에 자갈이나 모래, 곡식을 채운다. 5.선인장의 반대쪽 끝을 막고, 필요 하면 무늬를 새긴다. 나무로 만든 레인스틱의 모습 (출처 나무위키) 하지만 이렇게 만들기는 어려워서 저는 집에서 만들어 봤어요. 집에서 ...
- 어부가 꿈이셨던 안광국 교수님과 함께한 민물고기 탐사 ~~물,그리고 물고기기사 l20190907
- 들은 내용과 민물고기 필드 가이드에 나와있는 내용을 적었습니다> 1. 참종개 참종개는 고유종으로 물에 흐름이 빠르고 자갈이 많이 깔린 하천 상, 중류에 서식합니다. 꼬리 지느러미 시작부분에 검은 점이 1개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2. 동사리/ 얼룩 동사리 동사리는 고유종으로 하천 중 상류에 돌 밑에서 서식합니다. 전체적으로 ...
- 화석, 어디까지 찾아봤니? -태백 구문소 화석탐사기사 l20190805
- 일요일에 폭우가 왔기 때문에 강물이 엄청나게 불어서 주변 삼엽충화석군락지로는 가까이 가보지도 못하고 박물관 아래 자갈밭에서만 탐사할 수 있었습니다. 솔직히 도착해서 엄청나게 많은 암석들을 보니, 과연 이곳에서 화석을 찾을 수 있을지 막막하였지만 화석을 찾을 수 있을 것이란 확신을 가지고 암석을 하나하나 살펴나갔습니다. (황지천에서 화석을 찾고 ...
- 6월 16일 민물고기 현장교육기사 l20190618
- 빛의 양에 따라 동공의 크기를 조절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주로 한강이나 금강에서 서식을 하며 물이 소용돌이 치는 자갈 부근이나 돌틈에서 볼 수 있고 수서곤충을 잡아먹곤 합니다. 그리고 사진으로 담지 못 했던 물고기 중 쉬리와 참쉬리, 돈고기인 돌고기, 납자루과인 참중고기, 피라미, 새코미꾸리 등이 있었습니다. 이번 민물고기 현장교육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