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
라이트
불빛
광
빔
들보
레이저광선
뉴스
"
광선
"(으)로 총 508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 핑크 형광 뽐내는 뜀토끼…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연구원팀은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블랙홀 주변의 뒤틀린 시공간을 통해
광선
이 이동하는 경로를 계산한 결과를 영상화했다. 알가리프 제공 엄청난 크기의 전자설비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미세조류가 자라나는 거대한 배양시설이다. 아이슬란드 조류 배양기업 알가리프가 운영하는 생물반응기 ... ...
NASA ,2022년 기후변화 감시할 4개 임무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4
Source Investigation)’ 임무는 지구 먼지 관측을 목표로 한다. 2022년 국제우주정거장에 가시
광선
과 적외선을 측정하는 이미지 분광계를 설치하고, 먼지에 섞인 광물 입자의 특성을 파악한다. 광물 입자마다 빛에 반응하는 특성이 다르고, 이에 따라 주변 환경조건이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철 ... ...
[프리미엄리포트]파랑일까, 초록일까
과학동아
l
2021.12.11
가시
광선
은 파장이 380~700㎚ (나노미터‧1㎚ 는 10억 분의 1m)인 빛이다. 이 파장 스펙트럼에서 사람의 눈은 수백만 가지의 다른 색을 인식한다. 하지만 언어에서 분류하는 색의 숫자는 훨씬 적다. 한 예로 볼리비아의 치마네족 대부분은 색 구분 시 흰색과 검정, 빨강을 나타내는 단어만 사용한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보어 원자 모형의 지지자들
2021.12.09
에너지가 작아 바닥상태의 유리원자를 들뜬상태로 바꿀 수 없다. 따라서 유리는 가시
광선
을 흡수하지 못하고 그냥 통과시킨다. 우리가 유리를 통해 반대편 풍경을 볼 수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프랑크와 헤르츠는 보어의 원자모형이 나오기 전부터 비슷한 실험을 해 왔고 1914년 프랑크-헤르츠 실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고전역학에서 양자역학으로
2021.11.25
결국에는 원자핵으로 추락하고 만다. 또 이 과정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는 마치 가시
광선
의 무지개 스펙트럼처럼 연속적인 스펙트럼을 보인다. 이는 모두 원자에 대해 잘 알려진 사실들과 일치하지 않는다. 원자 속의 전자는 원자핵과 잘 분리돼 있다. 그리고 원자가 방출하는 빛의 스펙트럼을 ... ...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발사 준비중 사고로 또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1.11.23
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차세대 우주망원경이다. 고도 537~541km의 지구저궤도를 돌며 가시
광선
, 근적외선 스펙트럼을 관찰하는 허블우주망원경과는 달리 이보다 훨씬 먼 150만km 떨어진 ‘라그랑주 L2’ 지점에 설치돼 적외선 대역 관측도 가능해 우주의 더 깊숙한 공간을 관측할 수 있다. 라그랑주 L2 ... ...
우주 기원 찾는 새 추적자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다음달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1.19
5배나 껑충 뛰었고 제작 기간도 10년이 지연됐다. 고도 537~541km의 지구저궤도를 돌며 가시
광선
, 근적외선 스펙트럼을 관찰하는 허블우주망원경과는 달리 이보다 훨씬 먼 150만km 떨어진 ‘라그랑주 L2’ 지점에 설치돼 적외선 대역 관측도 가능해 우주의 더 깊숙한 공간을 관측할 수 있다. 라그랑주 L2 ... ...
한국 과학자가 컴컴한 우주에서 포착한 '악마의 눈' 올해의 핼러윈 천체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1.10.29
두꺼운 방출물질층을 만들며 생기는 현상이다. 중심에 파묻힌 별 자체는 오히려 가시
광선
영역에서 보이지 않는다. 대신 사이를 뚫고 나오는 별빛이 주변부와 반응하면서 신비로운 모습으로 나타난다. 연구팀은 외각 껍질층의 반복되는 고리 구조와 이를 뚫고 나오는 방사형 빛줄기에 주목했다. ... ...
'무작위성·무질서'에 담긴 규칙에서 기후위기 해결의 실마리를 찾다...노벨위원회 설명자료
동아사이언스
l
2021.10.05
만들었다.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적도 주변의 낮은 태양
광선
보다 더 적은 수의 태양
광선
이 고위도에 도달한다. 태양 복사가 고르게 분포되지 않는 것이다. 지구의 축이 기울어져 계절마다 차이도 발생한다. 더 따뜻한 공기와 더 차가운 공기 사이의 밀도 차이는 지역별로 서로 다른 아주 혼란스러운 ... ...
[과기원은 지금] DGIST, 세균성폐렴과 코로나19 자동 분류하는 AI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01
나노물질은 입사하는 편광의 방향성에 따라 다른 광학적 성질을 보이는데 자외선과 가시
광선
에만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황화구리 세라믹 물질에 원자부터 체계적으로 카이랄 특성을 부여해 긴 파장의 빛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했다. 연구결과는 14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