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
라이트
불빛
광
빔
들보
레이저광선
뉴스
"
광선
"(으)로 총 50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빛나는 흑체, 20세기를 열다
2021.09.30
’이라 불렀다. 자외선은 가시
광선
의 보라색 바깥쪽에 해당하는 전자기파로서 가시
광선
보다 파장이 짧다. 그러니까 자외선 파국이란 말은 파장이 짧은 영역에서 고전역학이 망했다는 뜻이다. 이와 반대로 독일의 빌헬름 빈이 1896년에 제시한 분포함수는 짧은 파장대에서 실험결과와 잘 맞았지만 ... ...
[랩큐멘터리]'1000조분의 1초' 순간을 포착하는 극초고속 레이저의 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21.09.01
한다. 연구실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20펨토초 분해능을 가진 극초단 가시
광선
광학파라메트릭 레이저를 개발해 분석에 활용하고 있다. 반응을 역으로 조절하는 레이저 장비도 개발하고 있다. 화학 반응을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알아내 레이저로 에너지를 화학 반응을 조절하는 ... ...
유인 달탐사 착륙지 찾을 미 NASA 섀도캠, 한국 달궤도선에 설치 끝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30
섀도캠 장착이 완료됐다고 30일 밝혔다. 섀도캠은 달의 남북극 지방 충돌구 속 태양
광선
이 전혀 닿지 않는 지역인 영구음영지역을 촬영하는 고정밀 카메라다. 영구음영지역은 물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돼 물을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 미래 주요 착륙 후보지로 꼽힌다. 달 표면은 햇볕에 ... ...
[의학바이오게시판] 서울대치과병원 중앙장애인구강진료센터 개소 2주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정량광 형광’ 기술이 건강보험 급여 항목으로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해당 기술은 가시
광선
을 이용해 치아우식 유무를 확인한다. 기존 검사법으로 확인이 어려운 초기 충치를 잡아낸다. 김 교수팀은 2006년부터 15년간 이 기술과 관련해 과학기술색인(SCI)급 국제전문학술지 논문 48편과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카이랄 액정 결함 위상수학으로 해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광영상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레이저
광선
을 뇌에 조사해 생기는 간섭무늬인 스페클을 분석해 대뇌 표면에 뇌경색이 발생했을 때 뇌혈류의 변화와 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는 속도 측정이 어려웠던 기존 레이저 스페클 ... ...
아이폰에 지문 인식 다시 생기나…코로나19가 바꾼 생체인식 시장
동아사이언스
l
2021.08.20
개발되고 있지만 안면 인식보다는 속도가 더디다. 안면 인식 기술은 10여년 전 가시
광선
대신 파장이 850~940nm인 근적외선으로 얼굴 패턴을 인식하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한 단계 진화했다. 이후 구글, 페이스북 등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라온 수천 만장의 얼굴 사진을 딥러닝으로 ... ...
구부리고 겹쳤더니 새 기능 쏙쏙... '변신의 귀재' 2차원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1.08.13
떨어진다. 실리콘처럼 이미 검증된 반도체 소재를 센서에 쓸 수 있는 자외선이나 가시
광선
과 달리 적외선 파장을 흡수하는 반도체 소재들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첨단 무기기술을 개발하는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새로운 야광 투시경용 소재로 2차원 소재에 주목했다. 알리 자베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낮 폭염 식히는 수동주간복사냉각
2021.08.10
도달하는 전자기파는 파장 0.3~4㎛(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분의 1m)로 자외선과 가시
광선
, 근적외선 영역이다. 따라서 낮에도 복사냉각효과를 보려면 일단 이 영역의 전자기파를 최대한 흡수하지 않아야 한다. 여름에 흰옷을 입거나 흰 모자를 쓰면 덜 더운 이유다. 그러나 실제 햇빛의 열에너지 ... ...
독성 줄이고 세포 친화적인 인공장기용 바이오잉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8.09
이 때문에 조직을 큰 부피로 만드는 데 한계가 있었다. 장 교수팀은 UV가 아닌 가시
광선
을 쪼아 재료들을 굳힐 수 있는 바이오잉크를 개발했다. 바이오잉크에 든 아미노산 중 타이로신이 서로 들러붙게 하는 원리다. 기존의 바이오잉크와 달리 부피가 큰 조직을 찍어내도 여전히 독성이 거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X선의 발견, 20세기 물리학의 시작
2021.08.05
과학자들은 X선을 이용해 고체나 유기물의 내부구조를 탐색하기 시작했다. 말하자면 가시
광선
으로 보지 못하는 영역을 X선을 이용해 ‘보는’ 것과도 비슷하다. 가장 유명한 성공사례를 꼽으라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것이다. 유전물질의 실체인 DNA의 분자적인 구조는 1953년 제임스 왓슨과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