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면역"(으)로 총 4,116건 검색되었습니다.
- 피부에 좋다는 콜라겐, 암 전이 돕는다동아사이언스 l2024.12.10
- 이식한 쥐)을 대상으로 디스에드헤린과 MMP9 간 신호전달 매개를 통한 콜라겐 리모델링이 면역 억제 및 혈관 신생을 촉진해 암세포 친화적 종양 미세환경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남 교수는 “이번 연구는 디스에드헤린에 의한 종양 미세환경 변화가 암의 악성화와 전이를 ... ...
- [표지로 읽는 과학] 'BBB' 뚫고 뇌에 치료제 전달하는 T세포동아사이언스 l2024.12.08
- 국내 T세포 전문가인 신의철 기초과학연구원(IBS)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바이러스 면역 연구센터장은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보통 치료제는 ‘혈액-뇌 장벽(Blood-Brain-Barrier, BBB)'때문에 뇌에 침투하기 어렵다"면서 "연구팀이 설계한 T세포는 BBB를 통과해 CAR-T세포처럼 작동하는 치료제"라고 ... ...
- 인기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원래 당뇨 치료제였다?…신약 재창출의 세계과학동아 l2024.12.07
- 2020년 제약사 일라이 릴리의 벤카테시 크리쉬난 연구원이 이끈 연구팀은 AI 분석을 통해 면역조절 약품인 '바리시티닙'이 코로나19에 효력이 있다고 발표했다. (doi: 0.15252/emmm.202012697) 그 결과 바리시티닙은 FDA의 긴급사용승인을 받고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 렘데시비르와 함께 코로나 치료에 쓰였다 ... ...
- 6세 미만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입원 증가동아사이언스 l2024.12.04
- 1~3일 후 기침, 쌕쌕거림의 증상을 보인다. 대부분 자연 회복하지만 일부 영유아와 면역저하자 및 고령자는 폐렴 등의 하기도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이 나타날 땐 의료기관에 방문해 조기 진료 및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이 감염증은 감염자의 호흡기 비말이나 접촉을 통해 ... ...
- [의학바이오게시판] 딥바이오-부산대병원, AI 기반 임상연구개발 협력 外동아사이언스 l2024.12.03
- 권위자다. 임기는 내년 11월 22일까지다. ■ 고려대구로병원은 오는 6일과 20일 ‘2024 면역마이크로바이옴 플랫폼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을 연구하고자 하는 임상의 및 연구자들에게 메타지노믹스, 메타오믹스 등 전반적인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방법과 치료 전략 및 진단 ... ...
- 모든 영유아 대상 RSV 예방 항체주사 '베이포투스' 국내 첫 시판동아사이언스 l2024.12.03
- 윤 교수는 "항체 구조 중에서 특정 부위의 아미노산 화학 구조 구성을 변화시키면 면역세포가 항체를 제거하는 데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베이포투스는 단백질 기본 요소로 구성되는 아미노산의 서열에서 요소 'M'을 'Y'로, 'S'를 'T'로, 'T를 Y'로 치환해 RSV 항체 ... ...
- 위암에 영향 미치는 두 세포 간 상호작용 규명동아사이언스 l2024.12.02
-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세포별 전사체 변화 및 기능적 변화를 추론했다. 기질세포와 면역세포 간 상호작용을 공간적 해상도에서 전사체 동역학 분석을 진행해 CCL2 발현 섬유아세포와 STAT3 활성화 대식세포가 위암 진행의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위암 실험실 모델과 생쥐 ... ...
- '박테리아 조준 미사일 칵테일'…항생제 안 듣는 '슈퍼박테리아' 새 사냥법동아사이언스 l2024.11.28
- 다양한 표면 수용체에 붙어 박테리아를 공격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치료에 쓰이는 혼합 칵테일 원리와 유사한 방식으로 ‘파지 칵테일’을 설계했다. 파지 칵테일은 여러 종류의 파지를 한데 섞은 것으로 박테리아 세포 표면의 다양한 수용체들을 동시에 ... ...
- 58세 말기 간경화 환자, 혈액형 다른 간 이식 수술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4.11.27
- 이식이 가능한 상태로 역가를 조정한다. 수술 이후에도 지속적인 면역억제 정도관리와 면역억제제를 사용함에 따르는 감염 관리가 필수이며, 거부반응 또는 감염의 징후를 매우 초기에 확인하고 빠른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강동경희대병원 관계자는 “혈액형 불일치 생체 간이식은 ... ...
- 한국인 건강 연구 위한 '영양소자료, 인체자원' 공개동아사이언스 l2024.11.22
- 주로 활용됐다. 이번에 공개된 ‘한국인칩 v2.0’은 만성질환 관련 임상 진단, 약물 반응, 면역 반응, 단백질 기능 등과 관련한 개인 맞춤형 의료 기술을 개발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 1만4400명의 유전정보가 포함되며 2025년 전체 공개에 앞서 이번에 선공개됐다. 공개된 영양소 자료는 에너지,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