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말
기포
거품
방울
물거품
수포
방울의 낙하
뉴스
"
물방울
"(으)로 총 213건 검색되었습니다.
빙하기에 아마존 열대우림은 어떻게 버텼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1.15
담고 있다. 비가 많이 올수록 천장에서 떨어지는
물방울
이 많아져 석순이 빨리 자란다.
물방울
에는 석회질 물질뿐 아니라 숲에서 나온 물질도 들어있다. 분석결과 빙하기 당시 동굴 위 지역의 강수량은 지금보다 42% 적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석순에 들어있는 탄소 동위원소 비율을 분석한 결과 이 ... ...
‘수학’으로 출렁이는 애니메이션 ‘모아나’의 환상적인 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13
같아야하죠. 물을 따를 때 물병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속도, 컵 벽에 부딪쳐 튀어 오르는
물방울
도 감안해야 합니다. 그래서 CG 전문가들도 복잡성이 큰 물이나 불, 연기, 눈 등은 제작을 꺼립니다. 하지만 제작팀은 애니메이션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수학자의 연구 결과를 적극 ... ...
우주선에서 생을 마감해야 한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7.01.01
내 인공중력이 사라지면서 무중력 상태가 되자 수영장에서 수영 중이던 오드리 레인은
물방울
과 함께 공중으로 떠오른다. - UPI코리아 제공 원인은 수소로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전력을 생산하는 우주선 원자로의 과열. 냉각장치 고장으로 과열된 핵연료는 원자로까지 녹이는데, 이 경우 원자로 안에 ... ...
현미경으로 관찰가능한 거대(?) 인공세포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8
곳에 담긴 물 표면의 단일막과 합쳐 세포막과 같은 이중막 구조를 만든 것. 이 과정에서
물방울
이 물 표면에 완전히 합쳐지지 않도록 계면 활성제가 사용됐다. 계면 활성제는 세포막이 완성되면 자연스레 빠져나가기 때문에 인공세포막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인공세포막을 현미경으로 ... ...
[카드뉴스] 눈결정에 대한 궁금증 4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12.25
기체에서 고체가 만들어지는 과정이지만 인공눈은 고압의 공기가 나오는 출구에 미세한
물방울
(액체)을 분사해 순간적으로 얼려 만듭니다. 즉 인공눈은 눈결정이 아니라 작은 얼음 알갱이라는 말이죠. 때문에 스키를 탈 때 천연눈이 폭신폭신한데 비해 인공눈은 단단하게 느껴집니다. 아직 ... ...
경찰청이 말한 ‘페르미’, 도대체 누구신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안타깝게도 말년에 암에 걸려 세상을 떠났습니다. 하지만 그는 병상에 누워서도 링거의
물방울
이 떨어지는 간격을 측정해 링거의 유속을 계산하는 저력을 보였다고 해요. 이렇게 페르미 교수가 평생 강조한 것은 제한된 시간과 부족한 자료 속에서도 답을 찾아가는 논리의 위대함이었어요. 사실 1 ... ...
스코틀랜드에서 희귀한 하얀 무지개 ‘포착’
2016.11.24
무지개’로도 불린다. 안개 속의
물방울
에 햇빛이 반사되면서 무지개가 생겨나는데,
물방울
크기가 아주 작아 무지개의 색깔이 옅어진다. 그러니까 완전히 하얀 것이 아니다. 무지개의 바깥 경계는 약간 붉고 안쪽 경계는 푸른색을 띤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유리 비 쏟아지는, 지옥 같은 행성
2016.11.02
받았습니다. 과학자들에 따르면 파란 행성 HD 189733b에는 비가 내리는 데 떨어지는 것이
물방울
이 아니라 유리입니다. 땅을 향해 유리가 내리 꽂히는 셈 입니다. 기온은 최고 3,000도(섭씨)까지 오릅니다. 또 풍속은 초속 2km입니다. 사람 뿐 아니라 아주 튼튼한 우주선도 견디기 힘든 최악의 날씨인 ... ...
바닷새가 물고기 잡으며 다이빙해도 죽지 않는 이유
2016.10.09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새우가 먹이를 잡을 때 미세
물방울
을 활용하는 방식, 개가 물을 마시는 독특한 방식 등 자연의 동물들에게서 나타나는 역학적 원리에 대해 연구해왔다. 연구진은 부비새가 다이빙하는 과정을 고속카메라로 촬영해 관찰했다. 신체 구조를 ... ...
통통 튀는
물방울
이 오염 제거한다
과학동아
l
2016.08.15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듀크대 기계공학 및 재료과학과 천-후아 첸 교수팀은 두 액체
물방울
이 고체 입자인 오염 물질 위에서 융합할 때 표면 바깥쪽으로 튕겨 나가는 자체 추진력이 생긴다는 데 주목했다. 그리고 이것을 이용해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