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말
기포
거품
방울
물거품
수포
방울의 낙하
뉴스
"
물방울
"(으)로 총 213건 검색되었습니다.
분. 자. 요. 리.
수학동아
l
2015.07.28
한 방울씩 똑똑 떨어뜨리면 과일주스 맛 캐비어가 된다는 것을 알아냈다. 과일주스
물방울
이 떨어지면서 순식간에 겉에만 둥근 모양대로 굳고, 안쪽은 즙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과일주스 말고 샴페인이나 기름, 소스나 스프를 넣을 수도 있다. 과즙으로 캐비어 만드는 과정 - Modernist Cuisine ... ...
킁킁~, 비 냄새의 정체를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12
작은 액체나 고체 알갱이를 말해요. 파도의 표면에 생긴 거품이 터질 때 나오는 작은
물방울
이 대표적인 에어로졸이지요. 에어로졸은 크기가 마이크로미터(㎛, 1㎛=10-6m) 정도로 작기 때문에 잘 보이지 않아요. 하지만 구름을 만들거나 자연 속의 미생물을 옮기며 환경에 영향을 끼쳐요. 또 사람 ... ...
29명 확진 평택성모병원, 에어컨 바람 타고 확산 추정
동아일보
l
2015.06.07
1m) 이하인 연무질을 뜻하는 용어로, 지름 5μm의
물방울
을 의미하는 비말보다 훨씬 작은
물방울
이다. 비말의 경우 큰 덩치 때문에 2m가량을 날아가는 데 그치는 반면에 연무질은 작고 가벼워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고도 오랜 시간 동안 공기 중을 떠다닐 수 있다는 것이다. 메르스를 일으키는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여전히 달라붙는다. 표면에 미세돌기가 있는 연잎을 모방한 표면에는 표면장력이 큰
물방울
이 스미지 못하고 겉돌다 떨어져나간다. 반면 표면장력이 작은 기름방울은 묻을 수 있다(왼쪽). 반면 다공성 물질에 액체가 코팅된 벌레잡이풀 잎둘레를 모방한 표면은 액체가 물과 기름 모두에 섞이지 ... ...
버려지는 실리콘이 전극 소재로 환골탈태!
2015.03.30
작은
물방울
이 발생한다. 이 작은
물방울
안에는 실리콘이 들어있다. 연구팀은 작은
물방울
을 그래핀과 바로 결합시켜 ‘실리콘-그래핀 복합체’를 만들었다. 실리콘-그래핀 복합체는 현재 리튬전지 전극 소재로 쓰이는 흑연을 이을 차세대 전극 소재로 각광받는 물질이다. 장희동 박사는 ... ...
원하는 빛만 흡수하는 광소자 개발
2015.03.22
자유자재로 조절했다. 물줄기가 중력에 의해 떨어질 때 표면에너지가 감소해 구형의
물방울
로 떨어지는 현상을 ‘플라토 레일리 불안정성 원리’라고 부른다. 주기적인 껍질을 갖는 나노선은 두께에 따라 다양한 색의 빛을 흡수한다. - 고려대 제공 연구팀은 실리콘 나노선에 낮은 압력에서 ... ...
라면 먹다 김서림, 이젠 안녕!
2015.03.20
수증기가 유리 표면에 둥근
물방울
모양으로 달라붙는 것인데, 초친수성 표면에선 둥근
물방울
을 유지하지 못하고 납작하게 퍼져 버린다. 평평한 수분 막이 되기 때문에 김도 서리지 않는 것이다. 또 나노 돌기 덕분에 표면이 울퉁불퉁해져 일반 유리보다 반사되는 빛의 양이 줄어 뒷면도 선명하게 ... ...
드라마 ‘스샷’ 찍듯 단백질 반응 찍는다
2015.03.17
수소와 중수소의 교환현상을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작은
물방울
에서는 생화학 반응 속도가 평소보다 1000배 정도 빨라지는 현상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방법을 통해 3㎲의 정밀한 시간분해능으로 단백질 반응과정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남 단장은 “이전까지 보기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게 놀랍게 보일지도 모르겠다. 이처럼 수용액에 미세한 기름방울이 떠 있거나 기름에
물방울
이 분산돼 있는 상태를 ‘유화(emulsion)’라고 부르는데, 젖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왔다. 우유의 현미경 사진(4200배). 우유는 수용액에 기름방울(지방과립)이 분산된 유화 상태로 지방과립의 크기는 대체로 3~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대부분이 지하수란 말이다. 일러스트를 보면 지구의 물이 얼마 안 되는 것 같지만 전체
물방울
의 지름은 1400km에 가깝다. 지구 지름이 1만2700km이므로 부피비로 대략 0.15%를 차지하고 있다. 질량으로 보면 약 0.03%다. 바다의 평균 수심이 대략 3.8km이므로 지표가 편평해 지구 전체가 일정한 수심으로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