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터"(으)로 총 2,5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연히 동결된 5만년전 매머드 피부, 고대DNA 3D구조 밝혀동아사이언스 l2024.07.15
-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정밀하게 보존된 고대 염색체가 발견됐다. 수십억 분의 1미터(m) 수준의 염색체 구조가 그대로 남아있어 멸종된 매머드의 유전체를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염색체를 발견한 연구자들은 "우연히 동결된 매머드의 피부에서 ... ...
- 탄소중립 위한 'CCUS 기술' 걸림돌 해결하는 나노촉매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7.14
- 않으면서 반응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은 촉매를 개발했다. 은 나노촉매는 약 7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크기의 정이십면체 구조로 입자 표면에 지질 유기물이 균일하게 결합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촉매는 상용 은 촉매와 달리 물과 친하지 않은 소수성을 띠며 전해질 범람 현상을 예방한다. KIST 제공 ... ...
- 손상된 근육에 뿌리면 지혈·회복…'가루 치료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7.11
- 생체에 적합한 천연고분자인 산화 덱스트란과 젤라틴을 혼합하고 크기 300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이하의 입자로 분쇄했다. 분말은 손상된 근육 조직 표면의 혈액·체액을 흡수해 5분 내로 수화젤을 형성하며 조직과 안정적으로 접착했다. 실험 결과 현재 의료용 접착제인 피브린글루의 ... ...
- 얼음과 액체 사이 경계, 최초로 직접 관측동아사이언스 l2024.07.10
- 얼음과 경계면이 형성된 얼음을 각각 관찰했다. 주변에 액체가 없는 얼음은 약 20나노미터(nm) 높이의 ‘서리 기둥’이 특징적으로 나타났고 부동액에 담가 액체와 경계면이 생긴 얼음은 평평한 형태를 보였으며 간혹 분자 하나 높이의 층이 형성됐다. 연구팀은 “부동액 속 얼음의 평평한 표면은 ... ...
- 2배 빠르게 자가치유되는 고성능 가시광선 반응 3D 프린팅 소재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7.10
- 기능을 부여하는 소재에도 자외선을 광원으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대략 300~400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범위의 자외선을 광원으로 활용하면 결과물 출력 공정과 기능 부여 공정에서 일부 동일한 파장이 경쟁적으로 흡수돼 효율적인 빛 반응을 방해한다. 결과적으로 출력물의 정밀성이나 출력 ... ...
- 몸에 퍼진 '전이성 암', 개복 없이 진단한다동아사이언스 l2024.07.10
- 농도 감소, 혈관 밀도와 비틀림 증가 등 암을 둘러싼 미세 구조 변화를 380마이크로미터(μm, 100만분의 1미터)의 고해상도로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근적외선 범위의 빛을 흡수하는 특수한 염료를 사용해 종양의 성장과 발달을 시각화하는 데도 성공했다. 특히 해부학적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 ...
- 2037년에서야 가능한줄 알았는데…국내 연구진, 초미세 반도체 구현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4.07.03
- 소재로 손꼽히는 이유다. 다만 기술적으로 2차원 반도체 내 전자의 이동을 수 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이하의 크기까지 줄일 수 있는 공정 기술은 없어 이를 집적회로로 확장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지금까지 반도체의 집적도를 높이기 위해 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했지만 한계가 있었다. ... ...
- 7월 과학기술인상에 노준석…초박막 메타렌즈 대량 생산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7.03
- 메타렌즈는 하나의 카메라 렌즈로 여러개의 렌즈를 대체할 수 있는 렌즈다. 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수준의 얇은 두께의 렌즈라 경량화에 유리하고 고해상도 이미징 등이 가능하다. 또 빛을 원하는 만큼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초고분해능 현미경, 음굴절 물질, 스텔스 기술 등 ... ...
- [동물do감] 동물 사체 먹어 양떼 지키는 거대 도마뱀동아사이언스 l2024.06.28
-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호주 남부 히스랜드가 원산지인 이 도마뱀은 길이가 1.5미터(m)까지 성장하며 오늘날 호주에서 활동하는 '동물 사체 청소부' 중에서도 거대한 축에 속한다. - doi.org/10.1002/ece3.1153 ... ...
- 한국 '인공태양' 초전도자석, 16년 장기 운전에도 최대 성능동아사이언스 l2024.06.24
- 초전도자석은 0.8밀리미터(mm)의 초전도 선재 다발로 이뤄졌다. 각각의 선재는 2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크롬 코팅이 돼 있어 서로 절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반복적인 고자기장 운전에 따라 이 크롬 절연층의 품질 저하가 발생하면 교류 손실이 커지고 운전에 따른 초전도자석의 온도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