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맥
meal
mill
mille
뉴스
"
밀
"(으)로 총 420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플라스틱과 공존 꿈꾸는 젊은 기업들
2021.09.25
수 있다. 서 대표는 고등학교 3학년이던 2016년부터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을 연구해왔다.
밀
웜(갈색거저리 애벌레)의 장내에서 찾은 미생물 300여 종을 대상으로 플라스틱 분해 실험을 마쳤다. 지금은 이 중에서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미생물 7종을 찾아 최종 검증을 하고 있다. ... ...
한화시스템, '
밀
리테크 스타트업' 9곳 선발…상생 나선다
연합뉴스
l
2021.09.08
바꿀 '게임 체인저'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협력모델을 함께 확장해나갈 수 있는 미래형
밀
리테크 스타트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한화시스템은 이들 9개 스타트업과 순차적으로 협약을 진행한다. 이와 함께 이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컨설팅과 전문교육을 제공하고 사업화 등을 지원하며 ... ...
순수한 물을 금속으로 바꾸는 새로운 방법
과학동아
l
2021.09.07
최대한 늦출 방법을 찾았다. 연구팀은 대기압의 1000만 분의 1 수준인 10마이너스4제곱mbar(
밀
리바)의 저압챔버에서 미세노즐로 액체 소듐-포타슘 합금 한 방울이 10초간 천천히 나오게 하고, 동시에 수증기를 공급해 물 분자가 합금 을 1초에 24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씩 도포하도록 만들었다. 이때 ... ...
'3
밀
환경' 목욕탕 집단감염의 새 진원지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속도가 종전보다 크고 빠르게 확대되는 양상”이라며 “목욕탕은 환기가 잘 되지 않는 3
밀
환경으로 감염에 취약한 경우가 많고 마스크를 지속 착용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목욕탕 내 마스크 착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국 목욕장에 마스크 620만장을 지원하기로 했다. 세신사는 마스크 ... ...
[강석기의 과학카페]감자 많이 먹으면 지구가 건강해진다
2021.08.24
심어 재배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수확량의 10%는 손실을 본다. 만일 벼나
밀
처럼 씨를 심어 재배할 수 있다면 씨감자를 준비할 필요도 없을 뿐 아니라 바이러스 같은 병원체에 감염될 위험성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런데 왜 여전히 씨감자를 심는 걸까. 물론 감자에서도 씨앗을 얻을 수 있다. 꽃이 ... ...
접종률 높은 요양병원시설 집단감염 원인은 변이·고령기저질환·3
밀
환경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노출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3
밀
환경은 '
밀
폐'된 공간에서 다른 사람들과 '
밀
집'해 '
밀
접 접촉'하는 것을 말한다. 이 단장은 이와 관련해 "요양기관은 다른 장소보다 돌파감염의 위험이 높고, 돌파감염자에 의한 추가 전파도 발생할 수 있어 백신을 접종한 것과 관계없이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 ...
[프리미엄 리포트] 미래 모빌리티 도시 공간구조를 바꾸다
2021.08.07
드론 교통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이동을 위해 드론 하늘길 개발이 한창이지만, 보다 정
밀
한 연구와 심도 있는 제도적 고찰이 필요하다. 모빌리티가 도시를 만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차에서 자동차로의 모빌리티 전환은 근대 도시의 교통 계획뿐만 아니라 주거 상업 중심의 토지 이용을 ... ...
델타 변이 전파력 강한 이유 “잠복기 짧고 바이러스량 1000배 이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7.22
바뀌는지 추적했다. 그런 뒤 2020년 기존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 63명의 바이러스 입자
밀
도 패턴과 비교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 ‘메드아카이브’에 12일(현지시간) 공개했다. 분석 결과 델타 변이 감염자들은 감염 4일 후 바이러스가 처음 검출됐다. 잠복기가 4일에 불과했던 ... ...
매년 큐비트 수 2배 ‘2차 양자혁명’ 시작됐다…한국 수준은 어디까지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기술 스타트업이 생겨나는 등 양자센서에서는 최고로 평가받는다. 지하의 마그마
밀
도 변화를 측정해 화산 분화나 지진 위험을 모니터링하고, 천연가스 탐사에 활용하거나 싱크홀을 찾는 양자센서는 상용화 단계다. 유럽연합은 양자 중소기업과 벤처를 지원하기 위해 올해 4월 ... ...
남극에 온실을 지었다...지구서 조종하는 우주인용 식물 재배 시스템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기술 개발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태양광을 대체하는 특정 조합의 LED 광원 기술이나
밀
이나 감자, 대두의 뿌리를 양액에 담궈 재배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이같은 우주 탐사를 위한 기술 청사진은 수십억달러 규모의 비즈니스도 창출하고 있다. 미국 뉴욕 소재 신생기업인 ‘보어리 파밍’은 지난 6월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