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병균
세균
박테리아
미소동식물
여과성병원체
바이러스
뉴스
"
병원균
"(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안데르탈인 멸종은 중이염 잦은 귀 구조 탓
연합뉴스
l
2019.09.23
머리·목 부위 전문 해부학자 등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의 멸종이 특별한
병원균
이 아니라 만성 귓병처럼 가장 일반적이고 해가 크지 않은 아동 질환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팀이 네안데르탈인의 화석 등을 통해 유스타키오관을 복원해 분석한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
2019.09.21
비브리오 콜레라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 대한 내성이 강하다. 아시아 지역에 흔한
병원균
이다. AB형은 더욱 콜레라에 강하다. 반면에 B형은 흑사병에 취약하다. 혹시 유럽에 B형이 적은 이유일까? 일부 학자는 북동부 유럽인에게 B형이 많은 것은 상대적으로 흑사병이 유행하지 않았던 지역이었기 ... ...
제왕절개 아기, 자연분만 아기보다
병원균
더 많이 갖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9
항생제를 먹는 것을 들었다. 태반으로도 항생제가 퍼지기 때문에 항생제에 면역이 강한
병원균
이 주로 살아남는다는 것이다. 제왕절개 아기에게 유익한 미생물을 늘려준다며 산모의 질액을 바르는 ‘질액 바르기’도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기가 자연분만 도중 질 내 미생물을 만나며 ... ...
인간 항생제 남용으로 애꿎은 돌고래도 피해
연합뉴스
l
2019.09.17
흘러들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에서는 매년 200만명 이상이 항생제 내성
병원균
에 감염되며 2만3천명 이상이 이로 인해 목숨을 잃는 것으로 집계돼 있다. ./연합뉴스 ... ...
미국판 노벨생리의학상 '래스커상'에 '면역 항암치료 개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1
분야에서 시상하고 있으며, 각 분야 수상자에게는 상금 25만 달러(약 3억 원)가 주어진다.
병원균
과 암세포 공격하는 B세포와 T세포 발견 공로 특정 병원체와 암세포를 인식해 방어하는 면역세포를 발견한 공로로 기초의학 부문 래스커상을 수상한 맥스 쿠퍼 미국 에모리대 의대 에모리백신센터 교수 ... ...
개구리 피부로 5000만명 살렸다…인류 구한 황당한 과학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푸른 색을 띈다. 또한 투구게 혈액은 면역 작용을 하는 백혈구가 존재하지 않아 외부
병원균
과 싸우는 능력이 없다. 대신 혈액이 세균의 독소와 반응해 굳음으로써 세균을 막아낸다. 병리학자였던 프레드릭 방은 투구게를 활용해 혈액 순환을 연구하던 중 이 현상을 발견하고 혈액학자인 잭 레빈 ... ...
병원균
잡는 ‘착한’ 호중구가 담석 유발?
과학동아
l
2019.09.03
호중구가 뿜어내는 DNA와 단백질을 담석 생성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호중구는 체내에서
병원균
을 발견하면 DNA와 단백질로 이뤄진 ‘호중구 세포외덫(NET ·neutrophil extracellular trap)’을 방출해 붙잡아 죽인다. 이때 NET에 칼슘과 콜레스테롤 등이 엉겨 붙으면서 결정화가 일어나고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 ...
환경부 "일회용기저귀 의료폐기물서 제외 추진"…환경단체 "감염위험" 반박
동아사이언스
l
2019.08.30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폐기물 처리장에서 밖으로 노출된 일회용기저귀로부터 실제로
병원균
이 확산될 수 있는지, 기온 등 외부 환경 요인이 얼마나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등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회용기저귀를 요양병원이 아닌 의료폐기물 소각장에서 채쥐한 것에 대해서 ... ...
여름 불청객 비브리오 패혈증 원인은 '시한폭탄' 독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비브리오 패혈증균의 독소는 다양한
병원균
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번 성과를 여러
병원균
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라며 “독성 유발 인자와 인체 단백질의 결합을 막는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9일자에 발표됐다. ... ...
의료폐기물 대란 '일회용기저귀'…과학계 "분리 수거후 즉시 소각만이 답"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26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요양병원 기저귀 감염성균 및 위해균에 대한 위해성 조사연구 최종 보고 기자간담회’에서 김성환 단국대 미생물학 ... “당장은 일회용 기저귀를 다른 쓰레기와 따로 분류해 빠른 시일 내에 소각시켜
병원균
감염 위험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