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병균
세균
박테리아
미소동식물
여과성병원체
바이러스
뉴스
"
병원균
"(으)로 총 29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토피 피부염은 '소금' 탓"…특정 세균 만나 알레르기 유발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각질 세포에 들어 있는 촉촉한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이 부족하다는 말은 피부가
병원균
으로부터 스스로 보호하는 면역 장벽이 무너졌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이 환자들의 피부에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이 많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연구팀은 추후 이 박테리아가 필라그린에 어떤 ... ...
[표지로 읽는 과학]동일한 생존전략 택한 세 지역의 토끼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지식인 ‘자연 선택설’의 힘”이라고 밝혔다. 세 곳의 서로 다른 지역에서 토끼가
병원균
에 저항하기 위해 같은 전략을 선택했다는 것은 환경에 적응해 생존한 개체가 살아남는 자연선택설의 원리를 모두 채택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백세 시대 인류가 원시인보다 암울한 이유
2019.01.13
등에 힘입어 일시적으로 작물 수확량을 늘린 덕분인지도 모르죠. 항생제를 처음 만난
병원균
은 맥을 추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개간할 땅은 점점 줄어들고, 내성균은 늘어납니다. 지역적인 분쟁도 증가 추세입니다.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유산을 한번에 소진하고, 미래의 세대로부터 자원을 당겨쓴 ... ...
멸종위기 꿀벌 살릴 백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7
일이 꿀벌에서도 나타나는 지를 확인했다. 여왕벌이
병원균
이 들어있는 음식을 먹으면,
병원균
이 내뿜는 핵심 분자가 여왕벌의 난황단백질인 비텔로제닌(vitellogenin)과 결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비텔로제닌을 항체로 이용해 꿀벌에겐 치명적인 질환인 '아메리카 부저병'을 예방할 ... ...
실험용원숭이는 왜 고압전류 위험 무릅쓰고 사육장을 탈출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노출된 적이 전혀 없었던 원숭이”라며 “야생동물과의 접촉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병원균
감염 여부를 검사 중”이라고 밝혔다. 만약 차후에도 건강에 이상이 없을 경우 다른 개체들이 있는 사육장으로 복귀시킨다는 방침이다. ● 고압전류 흐르는 전선 타고 사육장 탈출…작고 빨라 구조 난항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중후한 목소리에 끌리는 이유
2018.11.18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면역력이 떨어집니다. 남성적인 형질은 강화되지만, 부작용(?)으로
병원균
에 약해지게 됩니다. 남성이 일찍 죽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높은 수준의 테스토스테론을 감당할 수 있다면, 면역 기능의 저하를 감당하고도 남을 만큼 기초 체력이 튼튼하다는 반증일 수도 ... ...
슈퍼박테리아 잡는 신개념 항균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7
이용해 새로운 항독성 물질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기존 항생제는
병원균
을 죽여 없애는데, 이때 살아남은 균이 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내성균 발생을 피하기 어렵다. 연구진은 다른 항생제에 내성이 생긴 ‘황색포도상구균’이란 세균을 이용해 실험했다. 잔소안제롤은 이 균의 ... ...
핵전쟁부터 AI까지 인류 생존 위협하는 10가지 위험
연합뉴스
l
2018.11.06
수 있게 됐다. 빈 군축비확산센터 수석연구원 안젤라 케인은 생물무기로 사용된
병원균
이 전염병으로 이어지면 생물무기는 지구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고 했다. 화학무기는 생물무기보다 덜 치명적일 수 있지만 상수원 등에 투입된다면 광범위한 지역을 오염시킬 수 있는 것으로 지적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항생제 안 듣는 내성균 물리칠 신약
동아사이언스
l
2018.09.16
개발하더라도 계속해서 변형을 해야만 했다. 이런 가운데 항생제에 강한 내성을 가진
병원균
에 대항할 수 있는 새로운 무기가 개발됐다. 미국의 생명공학기업인 지넨테크의 피터 스미스 박사팀이 이끈 연구팀은 박테리아의 외벽을 새로운 방식으로 파괴할 수 있는 신약 후보물질인 ‘G0775’를 ... ...
박쥐는 왜 메르스에 안 걸릴까?
2018.09.11
능력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인터페론은 감염 뒤 생성되는 단백질입니다. 그러나
병원균
에 감염되지 않은 박쥐의 조직과 세포에서 지속적으로 인터페론이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박쥐의 경우 감염에 지속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이죠. 하지만 다른 종에서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