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병균
세균
박테리아
미소동식물
여과성병원체
바이러스
뉴스
"
병원균
"(으)로 총 295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열 낮으면 면역력도 낮아진다
과학동아
l
2017.01.08
서열이었던 암컷과 비슷한 유전자 발현 정도를 보였다. 연구팀은 또 이들의 백혈구를
병원균
과 섞었을 때 서열이 낮은 암컷의 세포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하는 것을 확인했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캐나다 몬트리올대 면역유전체학과 루이스 바레이로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 ...
[사이언스 지식IN] 면역세포? 줄기세포? 첨단재생의료법은 뭐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7
최대한 키운 뒤 다시 몸 안에 넣어주는 치료방법이다. 몸 안에 들어간 면역세포가 암 등
병원균
을 제거해 건강을 되찾아줄 수 있다. 일반적인 약물 항암치료에 비해 부작용이 적다. 암 치료에 효과가 있는 면역세포로는 자연 살해세포(NK세포), 수지상세포, B세포, T세포 등 4가지가 연구되고 있다. ... ...
"인공지능이 메르스 등 감염병 예방" 10대 미래기술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7
조기 차단에 요긴하게 쓰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동물이나 사람의 몸에서
병원균
을 조기진단하면 확산을 막을 수 있고, 유전자를 빠르게 분석해 백신과 치료약을 개발하면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니까요. 미국에선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을 겪은 뒤 관련 연구가 크게 ... ...
[카드뉴스] 내가 바로 이 구역의 똥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2
위장관 질환이나 심혈관 질환에 걸릴 확률을 줄인하고 해. 대장을 산성으로 유지해
병원균
의 활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라나. 특히 대장세포의 주요한 에너지원인 부티르산염은 대장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지 않게 만들어서 대장암의 위험도를 낮춘대. 그런데 사람들은 우리를 보면 시원함을 ... ...
빌 게이츠 재단 지원 받는 첫 국내 과학자 권오석 생명硏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6.12.19
2억 달러(약 2380억 원)를 지원하고 있다. 말라리아 환자는 혈액에 항체 같은 표지 물질(
병원균
존재 여부를 알 수 있는 물질)이 포함돼 있어 혈액 한 방울만 있어도 쉽게 발견할 수 있지만, 보균자는 표지 물질이 일반 환자의 100분의 1에 불과하다. 권 연구원은 “보균자를 진단하려면 기존 기술보다 ... ...
컴퓨터공학자가 오렌지 질병 막는다?
2016.12.08
전략으로 사용되었지만, 앞으로는 다른 농작물 및 가축, 인간의 건강을 해치는 질병의
병원균
전염을 막는데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 학술지 중 하나인 ‘플로스 컴퓨테이셔널 바이올로지(PLOS Computational Biology)’에 ... ...
독감에 대한 궁금증 4가지
2016.11.20
인식하는 것은 '겉껍질' 부분입니다. 독감 예방주사를 맞으면 우리 몸의 면역세포는
병원균
의 모양을 인식해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원인균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겉껍질은 동물에게 감염됐다가 사람에게 전파되는 과정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변이됩니다. 변이된 바이러스에 대한 ... ...
식중독 균 경고하는 파란 빛
과학동아
l
2016.11.11
필요 없이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며 “위장염 등을 일으키는 살모넬라균처럼 다른
병원균
을 검출할 때도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세균감염 막는 몸 속 방어 시스템 찾았다
2016.10.25
밝혀냈다. 진 교수팀은 백혈구가 어떻게
병원균
과 싸우기 시작하는지를 살피던 중
병원균
이 생체 내로 들어간 지 수 분 내에 백혈구 중 하나인 단핵구에서 ‘WRS’라는 분비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WRS는 감염원을 제거하는 ‘대식세포’에 붙은 뒤, 대식세포가 감염원을 더 빨리 없앨 수 있도록 ... ...
6세기 페스트균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6.10.19
것보다 유전적으로 훨씬 다양했을 것”이라며 “고대 게놈을 복원하는 연구를 통해
병원균
의 진화와 역사적 사건을 연구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의 원인이 페스트균이라는 사실은 2014년 국제 공동연구팀이 유골 두구에서 DNA를 채취하면서 밝혀졌다. 당시 연구를 주도한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