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원
영존
불변
내구
항구
구원
영구기관
뉴스
"
영구
"(으)로 총 562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래에서 물이 나온다...샌드댐 기술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가뭄 대응책이 마련됐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샌드댐은 올해 말 춘천시에 이관돼
영구
적으로 관리될 예정이다. 김병석 건설연 원장은 "개발된 샌드댐의 실증으로 여름과 겨울철 극한 가뭄과 결빙 시에도 깨끗한 수질의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며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 ...
[과학게시판] 과기정통부, 산·학·연 모여 수소기술의 미래 논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16
관리시설 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2060년까지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영구
처분시설을 확보하자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지하 수백m 깊이에 지질학적으로 안정한 암반층에 처분 터널을 건설하는 '동굴방식 심층처분' 기술과 대안 기술인 '심부시추공 처분' 기술이 연구되고 ... ...
달 궤도선 '다누리', 2차 궤적 수정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9.04
다누리에는 달 표면의 특성을 파악하는 광시야 편광 카메라, 자기장 측정기, 달의
영구
음영지역을 촬영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섀도우캠 등이 탑재돼 있다. ... ...
달 궤도선 '다누리' 2차 궤적 수정 기동 완료 후 순항 중
동아사이언스
l
2022.09.02
다누리에는 달 표면의 특성을 파악하는 광시야 편광 카메라, 자기장 측정기, 달의
영구
음영지역을 촬영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섀도우캠 등이 탑재돼 있다 ... ...
일론 머스크 "원전 폐쇄는 반인간적인 미친 짓"
동아사이언스
l
2022.08.29
지난해 미국 의회에 제출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2012년 이후 12개의 원자로를
영구
폐쇄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전 세계적으로 폐쇄된 203개 원자로의 발전용량을 모두 더하면 9800MW(메가와트)에 달한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지속적으로 원자력 발전을 지지하는 발언을 해 왔다. 3월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농도·고밀도로 기체를 물에 녹일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7
많지 않다. 재라드 메이슨 미국 하버드대 화학과·화학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영구
적으로 다공성 물을 생성해 다량의 기체가 액체 내에 고농도로 녹을 수 있는 시스템을 제시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연구논문을 공개했다. 연구진은 맞춤형 미세 다공성 나노결정을 물과 기타 수용액에 ... ...
인공 신경으로 척수 손상된 쥐 다리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7
재건하기 어렵다. 생체 신호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신체 기능 일부 또는 전부를
영구
적으로 상실할 수도 있다. 손상된 신경을 치료하기 위해 외과적 수술과 약물치료 등 다양한 시도가 진행됐지만 한번 손상됐거나 퇴화된 신경 기능을 다시 회복하는 것은 쉽지 않다. 신경 손상 환자 재활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우주개발, 순위 경쟁으로 변질시키지 않아야
2022.08.17
공동으로 개발한
영구
음영지역 카메라인 섀도캠도 주목을 끌고 있다. 달 표면에서
영구
적으로 햇빛이 들지 않는 그림자 지역의 반사율을 측정하는 장비다. 달 표면에서 액체의 흔적이 발견된다면 우주에서의 생명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크게 증폭될 수밖에 없다. 한국 최초의 달 궤도 탐사선 ... ...
[한국 첫 달궤도선] “모두가 흥분하고 있다” 외신도 주목하는 ‘다누리’
동아사이언스
l
2022.08.05
클리마 교수는 “달이 생성된 이후 혜성들에서 전달된 물과 같은 휘발성 물체들이
영구
음영지대에 냉각돼 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얼음이 묻혀 있는 곳을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향후 달 착륙 탐사를 위한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 ...
[한국 첫 달궤도선] 다누리 이후 올해 전세계 달 탐사 잇따라
2022.08.05
자국 최초 달 궤도선 '창어-1'을 발사했다. 2008년 인도의 궤도선 '찬드랴안-1'은 달의
영구
음영층에서 물과 얼음의 존재를 확인했다. 그동안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던 달의 뒷면에 대한 탐사도 이어졌다. 2018년 중국의 달 착륙선 '창어-4'는 세계 최초로 달의 뒷면에 착륙했고 식물재배까지 시도했다.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