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제
솔벤트
뉴스
"
용매
"(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홀로그램 보여주는 입체 디스플레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용매
를 주입해 필름을 원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가소화했다. 가소화란 고분자에 열이나
용매
를 주입해 영구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가소화된 고분자 필름은 외부 힘을 가해 변형시키면 바뀐 형태를 유지하는 ‘소성변형’ 특성이 있다. 특히 자유롭게 필름을 접어도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케쿨레(1829~1896)였다. 케쿨레 하면 가장 유명한 것이 벤젠의 고리모양 구조식이다. 벤젠은
용매
로 많이 쓰이는 향긋한 향내의 물질로서 대표적인 발암물질이다. 컵라면 용기, 소독제, 자동차 배기가스 등에도 벤젠이 들어 있다. 아우구스트 케쿨레(1829~1896) 벤젠을 처음 분리해 낸 사람은 뜻밖에도 ... ...
[팩트체크] 손 소독제는 바이러스를 어떻게 죽이는 걸까
과학동아
l
2020.03.28
막기 위해 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에틸렌글리콜은
용매
제, 토코페롤은 에탄올이 닿을 때 피부 세포의 손상을 막는 항산화제입니다. 알로에는 향을 유발하는 향기제(방향제)에 해당합니다. 꼭 피해야 할 성분이 하나 있는데요. 대표적인 살균 표백제 성분으로 ... ...
신약·신소재 연구 속도 빨라진다…결정화 촉진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25
유무기 물질과 단백질 결정화를 시도했다. 연구팀이 고안한 새로운 방식을 활용하자
용매
종류에 관계없이 결정 성장이 촉진됐다. 기존 오스트발트 숙성이 아닌 새로운 물리적 현상에 의해 결정화가 촉진되는 방법이다. 그쥐보프스키 교수는 “이번 연구에 따른 새로운 결정화 방법을 향후 신약 ... ...
20번 빨아 쓰는 마스크·치료용 항체 개발했다는데 당장 못쓰는 이유
2020.03.24
사람 입에 직접 닿아 코나 입을 통해 호흡기로 바로 들어간다. 나노필터에 사용된 유기
용매
잔류 여부나 나노필터에서 나오는 나노물질에 대한 안전성을 세심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노입자가 몸속으로 들어왔을 때 어떤 부작용이 있는지도 살펴봐야 한다. 이른바 독성 평가다. 급성 ... ...
폴더블폰의 핵심 ‘커버윈도우’, 새로운 소재로 완성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9
게 비용이 들 뿐 아니라 수율도 낮다. 정 박사는 유리와 같은 특성이 있으면서도 열 대신
용매
로 녹이는 값싼 공정을 활용할 물질을 찾다가 세라믹에 가까운 소재인 실리케이트(SiO₂)와 실리콘 오일(SiO) 간 중간물질을 개발했다. 실리케이트는 규소(Si)와 산소(O)가 결정 구조를 이루는 단단한 ... ...
리튬이온 대체할 차세대 배터리는?
동아사이언스
l
2020.03.09
빠르다. 하지만 나트륨은 그 동안 흑연 음극재를 쓸 수 없다고 알려져 있었다. 강 교수는
용매
를 이용해 흑연 층 사이에 나트륨이온이 쉽게 드나들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렇게 만든 음극재는 에너지 저장 밀도가 높으며 2년 반 이상 매일 1번씩 충전과 방전을 해도 성능이 떨어지지 않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커피의 치매 예방 효과
2020.01.07
필자는 디카페인 커피를 마셔본 적이 없다. 디카페인 커피는 1905년 처음 나왔는데 유기
용매
로 카페인을 추출했다. 이 방법은 지금도 널리 쓰이고 있다. 스타벅스의 디카페인 커피 역시 메틸클로라이드(methyl chloride)로 생두의 카페인을 녹여낸다. 생두를 수용액에 8~10시간 담그는 방법으로 카페인을 ... ...
전기차 배터리 저장용량·충전속도 두 마리 토끼 다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교수 연구팀이 유자형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음극 소재를
용매
에 분산시키고 극판에 접착시키는 ‘천연 고분자 바인더’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실리콘은 전기차용 배터리의 기존 음극 소재인 흑연보다 배터리 용량과 충전 속도를 높일 수 있지만 전기 ... ...
전도성 뛰어난 ‘맥신’ 상용화 앞당길 ‘유기 잉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22
개발했다. 마치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에 색을 내는 입자가 들어 있는 것처럼 유기
용매
에 맥신을 분산시킨 유기 잉크를 개발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구종민 KIST 센터장은 “맥신을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기 분산 잉크 기술을 확보해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며 “차세대 전자파 차폐는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