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리
사운드
음향
노래
음성
목소리
음파
뉴스
"
음
"(으)로 총 36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두 별이 합쳐졌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11.24
비교했을 때 달은 존재감이 미미한 천체라는 사실을 알았다면, 태양의 양에 대응해
음
을 대표하는 천체로 달을 택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과학의 발견은 때로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자연의 진실을 드러내지만, 이런 과학 지식이 어쩌면 우리의 ‘시적 상상력’을 위축시키는 게 아닌가 하는 ... ...
손가락 터치로 홀로그램 구현...미래 디스플레이에 ‘한걸
음
’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나면 광학 특성을 바꿀 없는 한계가 있다. 이같은 메타물질로 구현된 홀로그램은 처
음
프로그래밍된 단일 이미지만 띄울 수 있다. 연구팀은 외부 자극에 반응해 광학적 특성을 쉽게 바꿀 수 있는 액정을 메타물질에 접목했다. 메타표면에 특별하게 고안된 액정 기반 광변조기를 결합시켜 액정 ... ...
새가 ‘박치’가 아닌 이유, 뇌에서 찾았다
과학동아
l
2020.11.09
뉴런과 비교적 늦게 도착하는 뉴런이 존재한다는 뜻이다. 본래 축삭돌기 말단에서 다
음
뉴런으로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은 150μs(마이크로초·1μs는 100만분의 1초) 이내로 짧다. 연구팀은 포유류에서도 신호 전달 지연을 확인했다. 쥐가 수염을 움직이는 행동을 할 때 운동 정보 처리를 담당하는 ... ...
[과학자의 서재]노벨상 수상자의 삶에서 ‘책’을 찾아봤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6
있다. 미국의 물리학자인 로이 글라우버는 양자 광학 이론을 이용해 빛의 결맞
음
이론을 정립한 공로로 2005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어린 시절 미국의 빈민가인 브롱스에서 살았던 글라우버는 자주 외출할 수 없어 책이 심심함을 달래줄 유일한 ‘구원자’였다. 글라우버는 근처 공공 ... ...
'양극·
음
극' 나뉠 수 있는 독특한 금속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5
물리학자들이 극성 금속 개발에 도전해 왔다. 이 교수팀은 두 종의 양이온과 한 종의
음
이온이 규칙적인 반복 입체 구조를 형성하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인 SRO에 주목했다. 스트론튬 티타늄 산화물(STO) 기판 위에 얇은 막 상태로 가공한 SRO를 올린 뒤 힘(응력)을 가했다가 푸는 과정에서 매우 얇은 ... ...
노키아, 달 최초 통신사업자 되나…NASA 4G 통신망 파트너로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문빌리지'를 추진하면서 발표한 달의 5G 통신망 개념도. 리서치게이트 논문 캡처 ● 4G 다
음
은 5G 통신망 구축 지구에서 4G 통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을 건설해야 한다. 우주에서는 화물 운송 무게의 제약 때문에 기지국을 원하는 만큼 충분히 세울 수 없다. 낮에는 120도까지 치솟았다가 ... ...
[인간·공감·AI]조난자 소리, 원하는 가수 목소리 콕 찍어 키워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6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청각 인공지능(AI)을 연구하고 있다. 영상에서 원하는
음
만 골라 듣는 사운드 줌 기능부터 재난이나 사고 상황에서 상황을 인지하고 인명 구조를 하는 AI까지 청각 AI를 이용해 구현 중이다. ... ...
LED 연구에서 청색광이 마지막에 정복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것도 관건이다. 빛을 내는 반도체인 LED는 양의 전기적 성질을 가진 p형 반도체와
음
의 전기적 성질을 가진 n형 반도체가 붙은 구조다. 전자가 많은 n형 반도체와 전자의 반대인 정공이 많은 p형 반도체가 맞닿아 있다. 여기에 전기를 가하면 n층의 전자가 p층으로 이동해 정공과 결합하면서 에너지를 ... ...
[주말N수학] 히든싱어6, 인간과 AI 대결의 승자는
수학동아
l
2020.10.03
히든싱어 애청자라면 다시 한번 귀를 쫑긋 세우고 원조가수를 찾아보자. 귀로 즐기는
음
악의 매력을 알게 될 것이다. ※도움 이광연(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교수), 최대선(숭실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교수) ※참고자료 최대선 외 3인 ‘딥러닝 기반 모창가수 구분에서 특징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줌의 재발견
2020.08.25
하향평준화됐다(오른쪽). DMS가 식단의 질을 평가하는 유용한 지표라는 말이다. '네이처
음
식'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강석기의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