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리
사운드
음향
노래
음성
목소리
음파
뉴스
"
음
"(으)로 총 363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물리학상 받은 '위상물질' 특성 밝혔다...양자컴퓨터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9.10.23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실험에 돌입했다. 연구팀은 극저온에서 나노선 표면의 전자가 결맞
음
현상을 잘 유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위상물질의 전기적 특성과 상태밀도에 따라 공진주파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런 변화가 일어나는 원인도 ... ...
[주말N수학] 프로듀스X 101 투표 조작 의혹
수학동아
l
2019.10.12
투표수를 토대로 진행한 수학적인 분석이며, 현재 진행 중인 경찰 조사와는 관련이 없
음
을 밝혀 둡니다. 30~31쪽의 순위는 최종 득표수 기준으로, 최종 순위와 차이가 있습니다. ... ...
"저녁형 인간이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비만, 심뇌혈관질환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나쁜 생활습관은 저녁에 잦은
음
주와 기름진 식사, 과식"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임상지질학저널' 5월 17일자에 실렸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 가정의학과 이지원 교수(왼쪽)와 권유진 교수(오른쪽). 세브란스 제공 ... ...
[주말N수학] 수학자 힐베르트 17번 문제, 자율주행차 안전 문제를 해결하다
수학동아
l
2019.07.06
활용할 수 있도록 장애물을 없앤 연구팀의 노력에도 박수를 보냅니다. 과연 다
음
엔 어떤 문제가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할까요? 관련기사 수학동아 7월호 걱정이던 자율주행차 안전 '힐베르트 문제'로 해결 ... ...
“무어의 법칙 한계를 뛰어넘어라”… 차세대 정보저장 기술개발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비슷한 영역 사이의 경계면을 움직여 정보를 저장하는 기술을 실제 물질에서 처
음
만들고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재동 교수는 “저전력, 초고속 정보저장 플랫폼 개발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한빛1호기, 운영자 반복된 오판·안전절차 무시가 가져온 사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게다가 계산 오류를 범한 담당 직원은 원전 기동시험이 처
음
이었지만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수원은 지난해 자체점검을 통해 원자로 반응도 계산 과정에서 검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별다른 조치가 없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런 ... ...
한빛1호기 사건 “교육훈련 안받은 한수원 직원이 반응도 계산 잘못”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697pcm으로 계산했으나 사건 조사시 계산값은 +390.3pcm인 것으로 드러났다. 반응도에서
음
의 값은 미임계상태로 출력이 감소하지만 양의 값은 초임계상태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성자 수가 늘어 출력이 증가한다. 이와 함께 5월 10일 당일 실시한 제어봉 제어능 시험 초기에 발생한 제어군B 내 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
2019.06.04
12년 자신들의 2004년 실험의 해석에 오류가 있었다며 새로운 장치로 초고체가 존재하지 않
음
을 입증한 논문을 ‘피지컬리뷰레터스’에 발표하면서 충격을 준 것이다. 현재 학계는 고체헬륨이 초유체일 수 있다는 주장에 대체로 회의적인 입장이다. 2010년 12월 일본 와코 이화학연구소 ... ...
[프리미엄 리포트] 혀의 진화 래퍼의 탄생
과학동아
l
2019.05.19
움직임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고, 비트박서를 포함해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
음
악가의 발성을 조사하는 데도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실시간 MRI 기술이 아직 목소리를 시각화하는 수준은 아니다”라며 “향후 구강 내부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가 계속 축적되면 래퍼가 ... ...
시각장애인도 뇌 시각 영역 활용해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추출해야 해 향상된 능력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같은
음
을 들어도 비장애인보다 더 날카롭게 주파수를 판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온 파인 교수 연구팀 제공 두 번째 연구에서 연구팀은 시각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청각 신호의 움직임을 따라가는 능력도 높다는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