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압력
전력
볼트
볼트수
voltage
뉴스
"
전압
"(으)로 총 522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월 수상자에 박상도‧류동열
동아사이언스
l
2023.02.13
LED)와 회로의 동작 상태를 소리로 경고하는 버저, 키 스캔 및 다이얼 기능을 통합한 고
전압
기능 집적회로를 개발해 기존 마이크로컨트롤러(MCU)의 기능을 대체했다. 류동열 대표이사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시스템 반도체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 국내 시장 및 반도체 산업 발전에 지속적으로 ... ...
반도체 변압기 활용 전기차 급속 충전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13
단순화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연구팀은 단순히 전기에너지를 고
전압
교류에서 저
전압
직류로 바꾸는 고성능 반도체 변압기 개발을 뛰어넘어 이를 에너지 저장장치(ESS)와 동시에 연결해 전기차 급속 충전까지 활용할 수 있는 올인원 시스템까지 구축했다. 이번에 개발된 반도체 변압기 활용 ... ...
"착용하면 눈앞에 내비게이션"…AR 스마트 콘택트렌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증발하면서 결정화된다. 기존 전기 도금 방식을 사용하면 패턴을 인쇄하기 위해
전압
을 걸어야 해 반드시 기판이 전도체여야 했는데 메니스커스 현상을 활용하면 용매가 증발해 프러시안 블루 결정이 형성되며 패턴이 인쇄되기 때문에 기판의 제약이 사라진다. 연구팀의 마이크로 패턴 인쇄 ... ...
[과학게시판] 원안위, 신한울 2호기 현장방문 및 간담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27
등 바이오 전자현미경 분석 전문가로 꼽힌다. 또 2015년 세계 최초의 바이오 전용 초고
전압
전자현미경과 2016년 국내 최초의 초저온 투과전자현미경를 구축한 공로로 2018년에 국무총리 표창도 수상했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26일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산업계 연구개발 활력제고 간담회'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나트륨 통로와 칼륨 통로가 열리고 각 이온이 농도차에 따라 이동하면서 순간적으로
전압
이 바뀌는 과정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면서 신호가 전달된다. 그 뒤 펌프가 작동해 이온 농도가 원래 상태로 돌아가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이 밖에도 나트륨 이온은 동물에서 중요한 많은 역할을 맡고 있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자구조 제어 기술을 통한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반응성을 개선했다. 전지 내부에 소량의 전해액 양을 사용하더라도 높은 가역 용량, 구동
전압
, 그리고 수명 안정성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지난달 17일 게재됐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조재흥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금속-활성산소 종의 하나인 ... ...
[과기원은 지금] 전상훈 KAIST 교수팀, 기존 메모리 성능 뛰어넘는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뛰어넘는 메모리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메모리는 음의 정전용량 현상은 인가되는
전압
이 증가하면 전하량이 감소함을 의미하는 ‘음의 정전용량 효과’를 이용했다. 차세대 낸드 플래시 메모리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아연·망간으로 수명 제약 없는 레독스흐름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등으로 성능을 분석한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하이브리드형 아연-망간 레독스흐름전지의
전압
은 2.52V로 기존 바나듐 전지(1.3V)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효율도 10% 이상 향상됐다. 박 책임연구원은 "저비용의 아연-망간 소재와 가역성을 높일 수 있는 금속 이온 촉매 기술이 결합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330J에는 못 미치지만 꽤 컸다. 한편 용액에서 막을 통해 이온을 빼는 데 들어가는
전압
은 0.22볼트(V)에 불과했다. 다만 막이 이온을 투과하는 속도가 너무 느리다는 게 문제다. 냉각장치의 용량은 주어진 시간에 주변 열을 얼마나 흡수하는가를 뜻하므로 지금 상태로는 용량이 너무 적어 상용화할 ... ...
[과기원은 지금] DGIST, 빛에 의한 온도 변화 측정하는 온도 센서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06
있는 투명 온도 센서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온도 차 발생에 의한 빠른 전하 이동으로
전압
신호가 발생하는 열전 효과를 이용하면 수 밀리초 미만의 빠른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온도 센서는 무전력으로 동작해 웨어러블 소자, 투명 디스플레이 소자 및 전력 반도체의 열화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