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압력
전력
볼트
볼트수
voltage
뉴스
"
전압
"(으)로 총 515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철 낙뢰 피하려면 우산 들지 말고 차량·건물에 머무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2.06.27
시기별로는 6~8월에 전체 낙뢰의 71.5%가 집중됐다. 전기연구원 전기환경연구센터와 고
전압
시험실이 낙뢰가 발생하는 날을 가정한 실험에서 지면에서 더 높게 있거나 우산을 머리 위로 들고 있는 마네킹에서 낙뢰가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낙뢰가 예상되거나 발생할 경우 ... ...
맥박이 뛰면 전기가 '파파팍'...미세 운동 감지하는 압전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3
전류값 97.5V,
전압
값 1.16마이크로암페어(μA)로 기존 압전소자들이 보이는 전류값인 65V와
전압
값인 1.6μA보다 높다. 연구팀은 “이런 특성 때문에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며 “유연한 소재로 굴곡이 많은 인체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개발한 압전소자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포 섬모처럼 유체 흐름 만들어내는 인공 섬모
동아사이언스
l
2022.05.28
16개를 붙이면 가로세로 1cm 크기로 1024개 섬모가 들어간 인공 섬모 카펫이 된다. 여기에
전압
1V를 가하자 주변 유체가 초당 수십 마이크로미터 속도로 흐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헨 교수는 “섬모들을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순환하는 흐름이나 두 경로로 분할한 다음 다시 합쳐지는 흐름도 ... ...
두 물질 접촉면의 온도차 전기를 만들다…한국 과학자들 마찰전기 발생 원리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5.26
미도, 비열, 열전도도 등 물질 특성으로 구성된다. 또 마찰전기로 발생시킬 수 있는
전압
차이의 크기를 예측하는 ‘마찰전기 파워’라는 물리량도 처음으로 제안했다. 연구자마다 다른 결과를 보고해 부정확하다는 인식으로 2015년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다루지 않는 ‘마찰 대전열’이 이번 ... ...
[프리미엄 리포트] 사용후핵연료 저장고 이제 진짜 여유 공간 없다
과학동아
l
2022.05.21
전압
차에 이끌린 원자들이 전극에 달라붙는다. 그런데 우라늄과 플루토늄 등은 이끌리는
전압
차가 비슷하다. 따라서 이 과정을 통해 플루토늄만 딱 분리해내는 건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마치 쌀과 보리를 체에 걸러 분리하기 어려운 것처럼. SFR의 화재 위험을 막을 방법은 아직 연구중이다. ... ...
국내 연구진 전류 흐름 분석하는 새 이론 확립해 반도체 결함 문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6
특성이 도출됐다. 이 특성은
전압
이 증가할 때 전류는 오히려 감소해 전류와
전압
특성 곡선이 마치 알파벳 ‘N’ 모양처럼 비선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연구팀은 이 특성이 원자의 결함으로 발생할 경우 기존에 관찰된 비선형 부성미분저항과도 다른 특징이 관찰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 ...
버려지는 코코넛 껍질, 전기 수확하는 소자로 재탄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5
에너지 하베스터를 개발했다. 기존 PVDF로 제작한 에너지 하베스터보다 16배 높은 출력
전압
과 12배 높은 출력전류량이 나왔다. 코코넛 껍질을 섞은 에너지 하베스터는 발광다이오드(LED) 전구, 전자계산기 등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의 전력원으로 활용할 만큼 충분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으로 ... ...
끈적이는 홍합 단백질 모방해 해수전지 성능 4배 높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13
쓴 해수전지와 비교하는 실험 결과 과
전압
이 최대 60%까지 줄었으며 충전, 방전시 과
전압
차이로 알 수 있는 전극 성능도 4배나 향상됐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집전체가 부식되는 현상도 크게 줄었다. 또 바인더 내부에서 촉매 입자가 검출됐는데, 이는 바인더가 집전체 부식뿐만 아니라 촉매 ... ...
2차원 소재 잉크로 만들어 저전력 반도체 소자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7
또 잉크를 이용해 기존보다 소자 특성과 균일도가 크게 향상됐고, 장치를 구동시키는
전압
도 매우 낮은 대면적 2차원 반도체 소자를 구현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보고된 대면적의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TMDC) 기반 광검출 소자 중 빛에 가장 큰 반응성을 가지는 소자”라고 밝혔다. ... ...
인간 감각기관 정보처리 방식 흉내낸 소자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6
가하면 0.1~1킬로옴(kΩ)의 저항이 낮은 상태로 스위칭이 발생한다. 여기에 외부 자극을
전압
으로 변환하는 센서를 연결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뉴런 소자를 두뇌의 시각 중추를 모사한 인공 신경망과 연결했다. 그런 다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환자와 바이러스성 폐렴 환자의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