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압력
전력
볼트
볼트수
voltage
뉴스
"
전압
"(으)로 총 515건 검색되었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로 고성능 메모리 소자 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3
메모리는 전원이 꺼져도 저장된 정보가 유지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일종으로
전압
에 따라 저항변화층의 저항 상태가 고저항 상태에서 저저항상태로, 또는 반대로 바뀌는 현상을 이용한 메모리 소자다. 할로겐화물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는 저항변화 특성을 제어할 수 있어 차세대 메모리 ... ...
[랩큐멘터리] 원자에서 소재의 본질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소재 이미징 연구에는 기본적으로 투과전자현미경이 활용된다. 투과전자현미경은 고
전압
의 전자빔을 물질에 투과시켜 내부 구조를 수십만 배 이상 확대해 관찰할 수 있는 첨단 장비다.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분해능을 가지고 있어 원자 수준에서 정교하게 관측할 수 있다. 연구팀은 ... ...
“한국 배터리 산업은 ‘불안한 1등’ 자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지적했다. BMS는 전기자동차에 탑재되는 수백~수천 개의 배터리 셀에서 온도,
전압
, 충전량 등을 모니터링하고 전송해 배터리 상태를 관리하는 기술이다.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이를 지능적으로 관리하는 지능형 BMS가 최근 전기차 업계의 화두로 떠올랐다. 배터리 산업은 2050년 탄소중립 ... ...
반도체 공정에 쓰이는 플라스마 양 실시간 측정 센서 개발
연합뉴스
l
2021.05.31
플라스마 변수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센서는 없다. 수입산 장비로 웨이퍼의 온도나
전압
균일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이 쓰이고 있지만, 공정을 멈추고 센서를 삽입해야 해 실시간 측정이 어려웠다. 측정 이후 장비를 재가동하는 과정에서 공정 환경이 정상화되는 데 오랜 시간이 ... ...
제1회 현우 KAIST 학술상에 백무현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5.24
부여하는 방법이 유일하다고 알려져 왔다. 백 교수는 분자를 전극에 공유결합하고
전압
을 적용해도 같은 유도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발견했다. 전기적 유도 효과를 거대 규모 화학 합성에 적용하면 여러 화학반응에 필요한 분자나 촉매를 준비하는 복잡한 과정이 사라질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백 ... ...
[표지로 읽는 과학] 미래 반도체 물질 ‘강유전체’ 구조 특성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7
없어도 전기 편극을 지닐 수 있는 특이한 물리적 성질을 가진 물질이다. 외부에서
전압
을 걸지 않아도 스스로 양과 음의 전기분극 현상이 일어나 차세대 메모리 연구가 활발하다. 스커미온은 소용돌이 모양으로 배열된 나노 스핀 현상을 보이는 구조체를 말한다. 개별 스커미온은 고유의 ... ...
제4의 물질 ‘플라즈마’로 액체-기체 경계면 안정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2
사실을 알아냈다. KAIST 제공 최원호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팀은 "헬륨(He) 기체를 고
전압
으로 이온화시켜 플라즈마로 만들어 물 표면에 뿌리면 기체를 뿌렸을 때보다 물 표면의 안정성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일 밝혔다. 기체를 액체 표면에 제트(jet) 형태로 뿌리면 흥미로운 ... ...
아이들 건전지 삼킴사고 막으려면 리모컨 테이프로 감아두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1.03.29
2%) 다음으로 많은 사례였다. 리튬 건전지는 같은 동전 건전지인 알카라인 건전지에 비해
전압
이 2배로 높아 아이의 장기에 손상을 가하기 쉽다. 실제 리튬 건전지를 삼킨 한 영유아 환자의 경우, 식도 위쪽 괄약근에 리튬 건전지가 박혔다. 삼킨 지 2시간 이내에 리튬 건전지를 제거했으나 출혈이 ... ...
빨고 말리고, 스스로 전기 생산하는 입는 컴퓨터 시대가 오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 머터리얼즈에 공개했다. 트랜지스터는 전류나
전압
흐름을 조절해 신호를 증폭하고 스위치 역할을 하는 전자섬유 구현에 필수적인 부품이다. 연구팀은 트랜지스터의 전극 위에 보호막을 씌워 세탁한 후에도 성능을 유지하도록 했다. 전자섬유를 사용한 웨어러블 ... ...
반도체 한계·난치 췌장암 극복...과학난제 해결에 도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5
7월 공개했다. 연구팀은 평범한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전극물질인 산화하프늄에
전압
을 걸면 스프링처럼 강하게 작용하던 원자간의 상호작용이 사라지는 현상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이를 메모리 반도체에 적용하면 집적도를 기존 반도체보다 1000배나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확인했다.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