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압력
전력
볼트
볼트수
voltage
뉴스
"
전압
"(으)로 총 52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 손가락이 깨지기 쉬운 액정 화면도 부드럽게 터치
연합뉴스
l
2020.11.05
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전도성 고분자와 유연한 다공성 고리 화합물을 이용해 저
전압
에서도 빠르게 작동할 수 있는 소프트 액추에이터를 개발했다.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액추에이터를 이용해 전자 피아노 앱을 작동한 스마트폰에서 '해피 버스데이' 전곡을 연주하는 데 성공했으며, ... ...
[프리미엄 리포트] 슬기롭고 과학적인 전통킥보드 생활
과학동아
l
2020.10.24
과잉 충전됐을 때 종종 폭발하거나 화재를 일으킨다. 따라서 대용량 배터리팩의
전압
과 전류, 온도 등을 모니터링해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이 중요하다. 다만 전동 킥보드 같은 개인형 이동장치에 넣기 위해선 부피를 최소화해야 하기 ... ...
QLED 디스플레이 난제 '청색광 퀀텀닷' 왜 만들기 어렵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자발광 퀀텀닷을 개발했다고 이달 1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퀀텀닷이란
전압
을 가하면 스스로 빛을 내는 지름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양자점(반도체 결정체)을 의미한다. 크기에 따라 색을 결정하는 빛의 파장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색상이 뛰어난 ... ...
ESS 화재 오명 극복할 배터리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이용하는 아연-브롬 레독스 흐름 전지는 다른 수계 레독스 흐름 전지에 비해 구동
전압
과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어 1970년대부터 ESS용으로 개발됐다. 문제는 아연-브롬 레독스 흐름 전지의 아연 음극이 수명이 짧아 상용화가 지연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아연 음극은 충방전 과정에서 ... ...
단분자 검출하는 나노안테나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회절은 전자와 이온이 모두 전하를 갖고 있어 서로 상호작용하는 특성이다. 강한
전압
으로 빛을 모으려 해도 모을 수 있는 빛의 크기가 제한된다. 연구팀은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미노’ 놀이에서 영감을 얻어 새로운 방식의 ‘연속 도미노 리소그래피’ 기술을 개발했다. 이 ... ...
양자컴퓨터 단점 극복 ‘위상 양자컴퓨터’ 구현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9
접합’을 활용했다. 조셉슨 접합은 두 초전도체 사이에 비 초전도 물질을 끼워넣어도
전압
없이 두 초전도체 사이에 전류가 흐르도록 만든 것이다. 고차원 위상부도체에는 1차원 구조의 경첩 상태가 나타나는 것으로 예측됐는데 이런 경첩 상태는 금속성 몸통 때문에 제대로 관측하기 어려웠다. ... ...
해상도 100배 높은 차세대 QLED 프린팅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6월 16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퀀텀닷이란 별도 장치가 없어도 크기와
전압
에 따라 스스로 다양한 빛을 내는 수 나노미터(nm·100만분의 1미터) 크기의 반도체 입자를 말한다. 연구팀은 풀 컬러 퀀텀닷 배열의 해상도를 최대 1만4000ppi(인치당 픽셀 수)까지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현재 8K ... ...
원자 하나하나에 정보 담는 신개념 메모리 '저장용량 1000배로 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문제도 원자 반도체를 이용해 극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전극을 줄이지 않아도
전압
을 조금씩 조절하는 방법으로 전극 위에 놓인 여러 원자를 하나씩 움직일 수 있다. 이 교수는 “전극이 미세하지 않아도 원자를 개별적으로 읽어낼 수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초집적 반도체 ... ...
감전 사고로 눈에 별이 생겼다
팝뉴스
l
2020.06.27
낙뢰 사고가 아니라 감전 사고의 결과를 보여준다. 미국의 한 전기공 왼쪽 어깨를 타고 고
전압
전류가 몸으로 흘러들어갔고 눈에 별 모양의 상흔이 남게 되었다. 사진은 수년전 영국의 한 의학 저널에 소개된 것이다. 사고를 당한 남자는 시력이 많이 나빠졌다고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대기·물 속 미세먼지·미세플라스틱 ‘꼼짝마’...KIST·서울대 ‘나노갭 전극’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1
연구진은 “개발한 나노갭 전극을 공기 또는 물 필터에 활용할 경우 건전지 정도의 적은
전압
으로도 미세먼지, 나노플라스틱, 바이러스, 세균, 박테리아 등 다양한 미세 부유 입자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제거할 수 있다”고 밝혔다. KIST 주요사업과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 사업 지원으로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