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압력
전력
볼트
볼트수
voltage
뉴스
"
전압
"(으)로 총 522건 검색되었습니다.
'배터리 천하통일' 리튬이온배터리에 도전할 고성능 나트륨이온배터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나트륨은 소금을 구성하는 원소로 리튬보다 지구상에 500배 풍부하고 값이 싸다. 하지만
전압
이 리튬 이온에 비해 낮다는 점과, 무게가 3배 무거워 이온 이동 속도가 느리고 전기 저항이 크며 용량이 작다는 단점이 있다. 리튬에 비해 거대한 나트륨 이온이 전극 구조 내부를 드나들며 구조를 망가뜨려 ... ...
[프리미엄 리포트]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자체발광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6.13
퀀텀닷을 이용해 두께는 5.5나노미텉로 매우 얇으며, 색순도가 높을 뿐더러 낮은
전압
에도 매우 밝은 빛을 낸다. 어드밴스드 메터리얼스 제공 현재 개발된 디스플레이에서 활용하는 퀀텀닷은 빛 발광(PL·Photoluminescence)을 한다. 전류를 받아 빛을 내는 것이 아니라, 발광다이오드(LED)와 같은 별도의 ... ...
새끼손톱보다 작은 칩셋으로 가능해진 스마트폰 '양자보안'
연합뉴스
l
2020.06.11
또 제3자가 칩셋을 물리적으로 해킹하는 것을 막기 위해 칩셋 내부에 부품별로 다른
전압
을 공급하는 멀티 전원, 내부 데이터 접근 차단 기능 등을 적용했다. SK텔레콤 자회사 IDQ(ID Quantique) 연구진들이 5월 14일 SK텔레콤 분당사옥에서 '갤럭시 A 퀀텀' 스마트폰과 양자난수생성(QRNG) 칩셋을 ... ...
김치 매운맛 성분, 1분 안에 분석한다
연합뉴스
l
2020.05.27
다양한 성분 중 캡사이신과 디하이드로 캡사이신만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기술이다.
전압
프로그래밍 기반 '마이셀 동전기 모세관 크로마토그래피(micellar electrokinetic capillary electrophoresism, MEKC)'를 활용한 기술로 특성이 서로 다른 계면활성제 2종을 복합적으로 사용해 시료의 검출 감도를 크게 ... ...
전선 끊어져도 셀프 복원…자가 치유기술 어디까지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5.18
외부 방전을 막기 위해 전선이 연결되는 곳을 실리콘 절연체로 감싼다. 절연체는 고
전압
이 계속 가해지는 충격에 전선 주변부터 나무가 가지를 뻗어가는 모양의 ‘전기트리’라는 균열이 일어난다. 균열이 절연체 가장 바깥까지 도달하면 전기가 방전되며 정전 사고를 일으키기도 한다. 연구팀은 ... ...
70년 난제로 남았던 '준-페르미 준위 분리 현상' 규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분리 현상임을 밝혔다. 김 교수는 “비평형상태의 나노 소자 내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전압
강하의 기원을 새로운 이론 체계와 슈퍼컴퓨터를 통해 규명함으로써 다양한 첨단 반도체 소자의 분석과 차세대 나노 소자 개발을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주호 ... ...
[잠깐과학] 금보다 비쌌다고? 알루미늄 제련법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4.04
말을 듣고 연구를 시작한다. 1886년 그는 ‘빙정석’을 이용해 알루미늄을 녹인 후
전압
을 걸어 순수한 알루미늄을 추출하는 ‘전기분해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그런데 이 방법을 발견한 사람은 찰스 마틴 홀 뿐만이 아니었다. 거의 비슷한 시기 프랑스의 화학자 폴 루이 투생 에루도 ... ...
초음파로 몸속 의료기기 충전하는 시대 연다…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상우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4.01
발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발전소자는 돼지 피하지방층 0.5cm 깊이에 삽입했을 때 1.2V
전압
과 98마이크로암페어(㎂·100만분의 1A) 전류 출력을 보였다. 관련 연구결과는 지난해 8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기술은 에너지벤처기업 ‘에너지마이닝’에 지난해 이전됐다. 김 교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폐열의 빛으로 전기 만든다
2020.03.24
p형 반도체의 전자를 들뜨게 해 금속 게이트로 이동시키고 다시 n형 반도체로 이동시켜
전압
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묘사하고 있다. C. Bickel/사이언스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 ...
'전기화학 스위칭 소자' 쩍쩍 갈라 이온 고속도로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9
상태를 조절했을 때 전기 및 광학적, 기계적 특성이 바뀌는 소재다. 소자에 가한
전압
에 따라 투과도와 변형률이 바뀌는 성질을 이용해 스마트 윈도우나 구동기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산화바나듐(VO₂) 소재가 대표적으로 쓰인다. 이 소자의 성능은 이온의 이동 속도를 조절해 바꿀 수 있다.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