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압력
전력
볼트
볼트수
voltage
뉴스
"
전압
"(으)로 총 52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소전기차용 연료전지 핵심소재 효율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4
용해되지 않고, 기존 분리막보다 44% 높은 전도성과 전력밀도를 보여줬다. 시간이 지나
전압
이 떨어지는 정도는 기존보다 63% 더 낮았다. 디억 연구원은 “고온용 고분자 전해질막은 수소전기차용 연료전지의 핵심소재이지만 기술적인 장벽이 높아 현재는 소수의 국가만 생산할 수 있다”며 “이번 ... ...
서로 다른 물질 붙여 전류 방향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기존 소재에 비해 효과가 100배 컸다. 추가로 다른 방향의
전압
을 걸어주면 전류가 특정 방향으로 흐르는 성질을 더 강하게 만들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혔다. 유 교수는 “자기장을 이용해 전류를 특정 방향으로 흐르게 만들 수 있으므로 자성 소재로 활용하면 전자의 ... ...
우주 탄생부터 일상의 혁신까지… 인류의 미래 밝힐 위대한 발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낮은 물질 중 하나”라며 “리튬으로 음극을 구성하면 양극에 어떤 물질을 구성하더라도
전압
을 높게 만들 수 있다”고 의의를 설명했다. 존 구디너프 미국 텍사스대 교수는 1970년 리튬코발트산화물이라는 양극 활물질을 처음 개발했다. 이 교수는 “100을 충전하면 99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 현재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전기차 업체 테슬라를 세상에 등장시킨 老화학자들
2019.10.10
구성하더라도 전지의
전압
을 높게 만들 수 있다.(전지의
전압
은 양극의
전압
에서 음극의
전압
을 뺀 값이다) 게다가 리튬 이온은 원자번호 3번이기에 가볍고 빠르다. 양이온 중 수소를 제외하면 제일 빠른 이동 속도를 갖게 된다. 이동 속도가 빠르면 전지의 파워에 연관이 있기에 힘이 센 전지를 ... ...
노벨화학상, 충전의 세상 연 리튬이온 배터리 연구자 3명 수상(종합)
2019.10.09
단점으로 제시됐다. 구디너프 교수는 산화물 계열의 물질을 활용해 2볼트에 불과한
전압
출력을 4볼트로 높이는 데 성공했다. 구디너프 교수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양극으로 ‘리튬코발트산화물’을 제안하는 논문을 1980년 발표했고, 이후 일본 기업 소니가 리튬코발트산화물을 양극으로 활용해 ... ...
'스마트 변전소' 핵심기술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9.30
디지털 통합 데이터 생성장치는 변전소의 변류기와 변성기를 통해 아날로그 전류와
전압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해 전송해주는 기술이다. 고신뢰 네트워크 장치는 한쪽 네트워크가 문제가 발생하면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기술로 고장이 나도 통신이 끊어지지 않게 해준다. 변전소 내 수많은 ... ...
이산화탄소보다 2만 3500배 강력한 온실가스 '육불화황' 유럽 內 배출량 증가세
동아사이언스
l
2019.09.15
불에 타지 않는 성질을 지닌다. 때문에 전기 사고와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용도로 고
전압
전력장치의 절연체에 주로 쓰인다. 문제는 SF6가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능력이 대표적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보다 2만 3500배 높은 강력한 온실가스란 점이다. 자연상에 존재하지 않는 합성가스라 빠르게 ... ...
플렉시블 CZTS계 태양전지 광전효율 첫 11.4% 달성…"세계 최고 효율"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있다. 연구팀은 기존의 3층 구조 CZTS계 박막태양전지 전구체를 다층 구조로 바꿔
전압
특성 및 균일도를 개선해 효율을 향상시켰다. 그 결과 연구팀은 11.4%의 효율을 달성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플렉시블 CTZS계 박막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했다”고 말했다. 강 연구원은 “앞으로도 ... ...
차세대 차량 연료 후보 포름산 생산효율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표면에 흡착된 일산화탄소가 포름산보다 먼저 산화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또 특정
전압
범위에서 포름산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문제가 되는 일산화탄소만 산화시켜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2단계 전기분해법’을 개발했다. 2단계 전기분해법은 전기 분해 시에 ... ...
촉각세포 모방한 전자피부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개발에도 성공했다고 밝혔다. 굴곡이 있는 사람 몸에 부착이 가능하고 1mV의 낮은
전압
에서도 외부 자극을 효과적으로 인식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김 교수는 “생체 촉각세포의 이온전달 체계에 매우 가깝고 촉각 기능을 극대화한 신개념 전자피부 소재 기술을 개발했다는데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