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스페셜
"
박테리아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78 유형의 경우는 다른 유형의 클로스티리디움에는 없는 ptsT 유전자를 갖고 있었다(다른
박테리아
에서 유전자 수평이동으로 획득한 것으로 보인다). ptsT 유전자가 발현돼 만들어진 단백질은 세포막에 박혀 있으면서 바깥의 트레할로스를 세포 안으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RT07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18.01.23
이 대장균을 배양시키자 배당체인 인디칸을 만들어냈다. 한편 또 다른 대장균에는
박테리아
바실러스(Bacillus circulans)의 배당체가수분해효소(BglA) 유전자를 집어넣었다. 즉 대장균 한 균주는 인디칸을 다른 균주는 배당체가수분해효소를 만드는 미생물 공장인 셈이다. 인디고의 연간 생산량은 5만 ... ...
[표지로 읽는 과학] 장내미생물이 피부암 치료에 도움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7
결과가 발표됐다. 시카고대학 연구팀은 악성 흑색종 환자들의 대변 샘플에서 특정
박테리아
의 수치가 특히 높은 사실을 확인했다. 악성 흑색종은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닌 세포의 악성화로 생기는 피부암으로 다른 피부암보다 전이가 빠르고 치명적이다. 연구팀은 악성 흑색종 환자 42명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
2017.12.06
생명체(효모)의 힘을 빌리기는 했다) 게놈을 빼낸 다른 종의
박테리아
세포에 넣어 기생
박테리아
로 살리는 시도가 성공했다. 소위 ‘합성생물학’의 시대를 연 것으로 평가되는 연구결과이지만 회의적인 시각도 많았다. DNA만 화학적으로 만들었을 뿐 결과물은 자연의 생물체와 다르지 않았기 ... ...
화장품에 거미줄이 들어간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7.10.22
해도 실제 필요한 양 만큼의 거미줄을 얻긴 힘들다.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대장균,
박테리아
, 효모, 식물, 심지어 염소 등을 유전적으로 조작해 거미줄을 구성하는 단백질을 합성하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이들의 성과는 어느덧 실생활에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미국의 스타트업 ‘볼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들어간다. 델브뤽 역시 물리학에서 생물학으로 전향한 사람으로 박테리오파지(
박테리아
에 감염하는 바이러스) 연구로 1969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퍼듀대에 다시 자리를 잡은 벤저는 파지 유전학 연구를 이어나가다(유전자가 DNA 조각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싫증을 느끼던 차에 1967년 칼텍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걸린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1만여 명이 감염되고 10여 명이 사망한다. 다행히
박테리아
질환이기 때문에 항생제로 치료가 된다. 앞서 잠깐 언급한 인체과립구성아나플라마증(HGA) 환자도 2014년 처음 국내에서 보고됐다. 앞으로 또 어떤 진드기 매개 질환이 등장할지 걱정이다. 필자는 아침저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gRNA)의 유전자와 함께 DNA를 자르는 효소인 CAS9 유전자를 넣은 플라스미드(원형 DNA)를 담은
박테리아
를 나팔꽃 배아에 감염시켰다. 그러면 플라스미드가 식물 게놈으로 끼어 들어간다. 식물 세포 안에서 만들어진 CAS9 효소는 gRNA가 인식하는 표적서열에 가서 DNA를 자른다. 게놈(염색체)이 두 동강난 ... ...
아프리카 하드자 족에겐 있고, 도시인에겐 없는 것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27
지배적이었지만, 하드자 족의 장내 미생 중에선 0.8%에 불과했다. 하드자 족이 가진
박테리아
중 2종은 도시 인구의 미생물 속에선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또 도시인들의 미생물 속엔 항생제 내성을 가진 미생물 무리가 하드자 족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1만~1만5000년 전 농업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그럼에도 ‘사이언스’는 비소
박테리아
논문을 철회하지는 않았다). 당시 필자는 비소
박테리아
논문을 읽어본 뒤 ‘이건 아닌 것 같다’는 예감이 들었지만 이번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 논문은 잘 모르겠다. 부디 탄소13 동위원소 표지법 실험에서도 폴리에틸렌을 분해하는 것으로 결론이 나오고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