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스페셜
"
박테리아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 자연이 인간 면역계에 좋은 과학적인 이유
2020.01.18
의하면 수평적 유전자 전달이 이러한 해조류 소화 능력의 원인인지도 모른다. 바닷물의
박테리아
중 일부는 해조를 분해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온 바다가 해조류로 가득할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세균의 유전자 중 일부가 장내 미생물의 유전자에 들어왔다는 주장이 있다. 일본인의 장내 ... ...
[과학게시판] '슈퍼버그' 특별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1.09
기적이라고 불리는 항생제의 개발부터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키운 슈퍼
박테리아
, 슈퍼
박테리아
를 없애기 위한 새로운 연구를 소개할 예정이다. 관람은 무료이며, 자세한 사항은 국립중앙과학관 홈페이지(www.scienc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한국천문연구원은 13~17일 대전 본원에서 전국 ... ...
[인류와 질병]오랜 친구가 좋다
2019.12.28
물론 위생가설은 조금 설득력이 약하다. 일단 우리 선조는 신석기 이전까지는
박테리아
나 바이러스 감염에 많이 시달리지 않았다. 인구 밀도가 낮기 때문이다. 게다가 도시는 사실 별로 ‘위생’적이지 않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
2019.12.03
바뀌고 각각에 다른 효소가 관여한다. 그런데 에르위니아(학명 Erwinia uredovora)라는
박테리아
의 CrtⅠ 효소가 두 반응을 촉매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연구자들은 대신 CrtⅠ 유전자를 쓰기로 했다. 배젖에서 라이코펜까지 합성하려면 수선화의 psy 유전자와 에르위니아의 CrtⅠ 유전자를 넣어줘야 ... ...
홍역 '면역 기억상실'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검출 기술 ‘바이러스캔(VirScan)’으로 환자 혈액 속에 그 동안 형성된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
대상 항체를 검출했다. 여기에 과거에 홍역에 감염된 적이 없는 115명의 어린이와 성인의 혈액 시료를 채취해 어린이 백신거부 환자의 홍역 감염 전후 항체와 비교했다. 연구 결과 홍역에 감염된 어린이는 ... ...
[2019 노벨상] 대학원생 업적, 정년 이후 연구로도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5
96세에 노벨상을 수상했다. 노벨재단에 따르면, 그의 주요 수상 업적인 광학 집게로
박테리아
를 조절한 연구는 그가 65세인 1987년 수행됐고, 수상은 이후 31년 뒤에 이뤄졌다. 노벨상 수상의 극과 극의 사례를 보여주는 '사이언스' 2016년 논문의 연구 결과. 입자물리학자 프랭크 윌첵은 대학원생 시절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
2019.09.21
한다. 그런데 O형 혈액형은 이러한 결합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 혈액형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감염 내성과도 관련된다. 위장관 세포에서 발현되는 ABO 항원이 병원체의 감염과 관련된다. 특히 A형과 B형 혈액은 비브리오 콜레라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 대한 내성이 강하다. 아시아 지역에 흔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2019.08.27
넘어가면서 삼켜진
박테리아
가 독립성을 잃어가는 과정이 다섯 번째 단계다. 이제
박테리아
는 완전히 예속돼(Enslave) 세포소기관 미토콘드리아가 돼 세포가 흡수한 영양분을 산화시켜 에너지 분자(ATP)를 만드는 일을 전담하는 게 마지막 단계다. 이번 ‘로키’ 아스가드 고세균 배양 성공으로 알게 ... ...
[프리미엄 리포트] 부르키나파소는 왜 GM모기 방사를 결정했나
과학동아
l
2019.08.17
모기라는 숙주에 감염을 시켰을 뿐 GM 모기는 아니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볼바키아
박테리아
의 유전자를 잘라 이를 모기의 유전자에 끼워 넣은 것이 아니므로 GM 모기라고 볼 수 없다(관련기사: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 http://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908N024 ) 옥시텍이 개발한 GM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포 수문장의 움직임 하나하나 드러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7
해가 되는 물질은 통과시키지 않는 역할을 한다. 인간에게는 중요한 기능이지만
박테리아
나 암세포로 눈을 돌리면 이야기가 다르다. ABC 수송체가 항생제나 화학 요법에 대한 저항성을 만드는 요소기 때문이다. 문제는 ABC 수용체가 물질을 통과시킬 때 문을 여닫는 복잡한 움직임을 보여준다는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