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스페셜
"
박테리아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요거트와 노벨상
2020.10.22
주목을 받았고, 호바스와 바랭구 박사가 공동으로 작성한 “크리스퍼/캐스,
박테리아
와 고세균의 면역 체계”라는 종설논문을 통해 다우드나를 비롯한 현재 크리스퍼 연구의 화려한 스타들이 이 연구분야에 뛰어들게 된 것이다. 생물학계에서 최근 일어난 가장 혁명적인 발견인 크리스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의 창 막는
박테리아
의 방패
2020.10.13
같은 경로가
박테리아
에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아래). 분자 진화 분석 결과
박테리아
의 씨가스-스팅이 원조인 것으로 드러났다. 네이처 제공 미국 하버드의대 미생물학과 필립 크랜주흐 교수팀은
박테리아
의 씨가스 시스템 가운데 일부가 2018년 발견된
박테리아
의 토에리스와 연결돼 동물의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화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7
예상할 수 없을 만큼 엄청난 변화를 이끌었다. 샤르팡티에와 다우드나 교수가 처음
박테리아
의 면역체계를 연구할 때만 해도 새로운 형태의 항체를 만들 수 있을 정도로 기대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이들은 생명의 코드를 쉽게 바꾸는 분자 도구를 발견했다. ... ...
유전자 가위 개발한 여성 화학자 샤르팡티에·다우드나 노벨화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이후 RNA의 대가인 제니퍼 다우드나 교수와 함께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두 사람은
박테리아
의 유전자 가위를 재구성하는데 성공했으며 유전자 가위의 분자 성분을 단순화하는데 성공했다. 또 유전자 가위로 DNA의 특정 부분을 잘라낼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잘라낸 부분에 유전자 코드를 다시 쓸 수 ... ...
서울대-구글, AI 분야 협력 본격 스타트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평가받고 있다. 컴퓨터공학부 교수이자 생물정보연구소장인 김선 교수는 DNA,
박테리아
등의 생명현상을 데이터로 분석하는 ‘생물정보학을 위한 기계학습’을 강의한다. 김 교수는 “구글-서울대 교육과정을 통해 최신 기계학습 기술과 생물 데이터가 만나 드라마틱한 결과를 내는 것을 보게 될 ... ...
'최고령' 96세에 노벨상 받은 미 물리학자 애슈킨 별세
연합뉴스
l
2020.10.05
입자를 움직이고, 고정하는 장치다. 애슈킨 박사가 1987년 이 광학집게로 살아 있는
박테리아
를 손상 없이 집는 데 성공한 뒤 생물학 연구에서 광학집게는 없어서는 안 될 기술로 자리 잡았다. 애슈킨 박사의 동료였던 스티븐 추 박사는 광학집게를 이용해 원자를 냉각하고 분리하는 연구로 1997년 ... ...
변신로봇처럼 합체하면 플라스틱 분해 속도 '쑥'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년 플라스틱을 먹는
박테리아
‘이데오넬라 사카이엔시스’를 발견했고 과학자들이 이
박테리아
에서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두 가지 효소인 페테이스(PETase)와 메테이스(MHETase)를 분리하는데 성공했다. 존 맥기헌 교수는 앞서 2018년 메테이스의 분해 속도를 20% 높이는 방법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 ...
[코로나19 연구속보] 확진자 중 유독 많은 비만 환자…“코로나19 수용체 더 많았다”
2020.09.18
쉐러 박사는 “
박테리아
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동시에 감염되면 환자의 폐나 신체 조직에 염증을 일으키는 코로나19 합병증인 사이토카인 폭풍이 일어나게 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베이킹 소다와 레몬, 치아 미백효과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영상이다. 적은 돈으로도 빠르게 치아를 하얗게 만들 수 있다고 사람들을 유혹한다. ‘
박테리아
’와 ‘에나멜’ 등 일상생활에서 듣기 힘든 용어들을 사용하며 베이킹 소다와 레몬을 섞은 혼합물로 양치하길 추천한다. 하지만 치과 전문의들은 이는 모두 근거가 없는 이야기라고 말한다. 우선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공공지식은 누구의 소유인가
2020.08.27
근거를 제시하기도 했는데, 그 이론은 바로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가 원래는 독립적인
박테리아
였다가 진핵세포와 공생하게 되었다는 유명한 진화론의 가설을 말한다. 마가렛 데이호프가 활동하던 시절이 남성 과학자들이 과학을 독점하던 야만적인 시기였음을 생각해본다면, 그가 이런 업적을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