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스페셜
"
박테리아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임상시험 개시"
연합뉴스
l
2021.05.25
위해 추가로 맞는 백신을 말한다. 폐렴구균 백신은 폐렴처럼 폐렴연쇄상구균
박테리아
로 인해 생기는 질환을 예방하도록 도와준다고 화이자는 설명했다. 이번 임상시험은 이 회사의 코로나19 백신 3상 임상시험에 참여했고, 최소한 6개월 전에 백신 2차분을 맞은 65세 이상의 고령자 600명을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학부생 인턴, 코로나19 최전선의 연구실을 경험하다
2021.05.17
유전체 변이 바이러스 제작에는 몇 가지 단계가 필요하다. 우선, 바이러스 유전체를
박테리아
플라스미드와 같이 조작하기 쉬운 전달체로 옮긴 후 유전자 삽입‧삭제‧치환 등 원하는 변이를 일으켜야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변이 유전체는 DNA 상태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유전체는 RNA이므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ATCG가 아니라 ZTCG로 이뤄진 바이러스
2021.05.04
활성을 지닌 PurZ 유전자로 진화시켰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르면 dZ-DNA는 몇몇 바이러스가
박테리아
의 방어체계를 무너뜨리기 위해 개발한 전략인 셈이다. 적어도 아직까지는 dZ-DNA를 지닌 세포 생물체가 발견지지 않았으므로 그럴듯한 얘기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개연성은 낮아 보이지만 훨씬 ... ...
임시선별소에서 30분 이내에 PCR로 코로나19 진단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5
책임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센서를 이용해 급성 폐렴을 유발하는
박테리아
(세균) 4종과 감기를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 4종 등 병원체 8종을 30분 이내에 진단하는 데 성공하고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바이오일렉트로닉스’ 3월 19일자 온라인판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이를 위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먹이사슬 타고올라간 '신경독' 최상위 포식자 위협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8
신경질환에 걸릴 수 있다는 게 연구자들의 분석이다. 수생 식물에서 자라는 시아노
박테리아
는 질병을 일으키는 신경독을 생성해 먹이 사슬을 통해 야생 동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기존 생태계에 영향을 주는 수생 생물에 의해 생성된 독소가 야생 동물은 물론 우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2의 미토콘드리아 찾았나
2021.03.23
가 나오기까지 지난 20억 년의 진화를 도식화한 그림이다. 아스가스 고세균이 산소 호흡
박테리아
를 포획하면서 역사가 시작됐고 에너지를 담당하는 세포소기관(미토콘드리아)으로 바뀌면서 진핵생물이 등장했다(a). 진핵생물의 여러 갈래 가운데 하나인 섬모충(ciliate)이(b) 무산소 환경으로 ... ...
[랩큐멘터리]인류를 위협으로부터 구원할 방패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병원성 미생물은 인류의 건강한 삶을 위협한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박테리아
(세균)가 대표적인 사례다. 개발도상국에서는 대장균, 살모넬라균 등 병원성 세균에 의한 식중독이 심각한 사회 문제다. 전상민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지능형물질및센서연구실은 이름 그대로 지능형 물질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프로야구에서 4할 타자는 왜 사라졌을까
2021.03.05
뿐이다. 아주 오래 전의 선캄브리아기나 지금이나 가장 많은 개체수를 차지하는 것은
박테리아
이다. 따라서 이렇게 과잉대표된 몇몇 개체를 중심으로 놓고 진화의 본질이 진보라고 말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것이 굴드의 요지이다. 굴드의 이 기막힌 ‘넘사벽’ 논증은 진화생물학과는 전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인체에 안전하면서 강력한 살균수는 없다
2021.02.03
것이다. ‘살균제’는 말 그대로 세균을 죽이는 ‘살생물질’이다. 단세포 생물인 세균(
박테리아
)을 죽일 수 있는 독성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그런데 사람의 몸도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사람 몸의 세포도 당연히 살생물질의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결국 ‘인체 안전성’과 ‘살균력’은 ... ...
코로나 바이러스 10배 잘 흡수하는 나노섬유 진단면봉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1
플라스틱 막대에 부착했다. 연구팀은 나노섬유 면봉과 기존 면봉이 단백질이나 세포,
박테리아
, DNA, 바이러스를 얼마나 잘 흡수하는지 비교했다. 나노섬유 면봉은 기존 면봉보다 흡수율이 10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경우 종전보다 10분의 1 농도에서도 검출이 가능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