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스페셜
"
박테리아
"(으)로 총 22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
2022.11.15
포함한 여러 거울상 생체분자들을 넣어줘 적절한 자극을 주면 생명력을 가진 거울
박테리아
로 다시 태어날지 모른다. 이번에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은 거울상 리보솜을 만드는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로 주요 구성성분인 거울상 rRNA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논문이 의미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생물 먹이가 된 플라스틱 쓰레기
2022.10.18
들여 내보내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최소화하는 생활 습관을 들여야 할 것이다. 토양
박테리아
인 수도모나스 푸디다는 다양한 유기화합물을 먹이로 삼아 살아간다. 최근 대사공학 기법으로 푸디다 균주 두 종이 플라스틱 쓰레기에서 얻은 유기산 혼합물로 각각 특정한 물질을 생산할 수 있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구조가 해체됐다. 진핵세포의 에너지 분자(ATP) 제조공장인 미토콘드리아는 포획된
박테리아
가 세포내공생을 통해 진화(또는 퇴화)한 소기관이다. 연구자들은 이를 재현하기 위해 인공세포가 있는 용액에 대장균을 넣어줬다. 대장균은 인공세포 안으로 들어가 자리를 잡았는데, 세포 하나에 10~5 ... ...
[노벨상 2022]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까"...해답 찾은 생리의학상 수상자
2022.10.03
고대 DNA는 화학적으로 변형되거나 짧은 조각으로 분해됐다는 한계가 있었다.
박테리아
로 고대 DNA가 오염돼 있기도 했다. 1990년부터 독일 뮌헨대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고대 DNA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던 페보 소장은 미토콘드리아 DNA로 이런 문제를 극복했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크기가 작고 세포 일부 ... ...
[노벨상 2022] 미라·고대인류 뼈 ‘덕후’ 첫 생리의학상 안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3
김 교수는 "4~5만 년 전 뼈에서 DNA를 추출할 때는 DNA 자체도 잘 보존돼 있기 힘들고
박테리아
등 다른 DNA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는 어려움이 있다"며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라는 최첨단 기술을 활용해 이를 극복하고 연구 결과를 냈다는 점에서 고인류학에 새로운 길을 열어줬다"고 ... ...
[과기원은 지금] 강주헌 UNIST 교수팀 혈액정화 치료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효과적이고 범용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다제내성균과 사람의 분변에 존재하는 다양한
박테리아
135종을 99% 제거할 수 있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변이들도 제거 가능하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온라인판에 7일 공개됐다. ■ 포스텍(POSTECH)은 이대수 물리학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포 사이 계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8.13
노력해왔다. 잉마르 리델크루세 미국 애리조나대 분자세포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박테리아
가 생성하는 부착소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을 만들어냈다고 이날 네이처에 공개했다. 연구팀이 만든 시스템은 ‘4색 정리’를 기반으로 한다. 4색 정리는 서로 인접한 두 나라를 다른 색으로 칠한다고 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스타벅스 캐리백 논란...엄습한 발암물질 공포
2022.08.03
호들갑을 떨 이유가 없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방어 메커니즘이 훨씬 취약한
박테리아
에서 확인한 유전독성을 근거로 인체 발암성을 주장하는 식약처의 현실은 몹시 안타까운 것이다. IARC의 분류는 발암성의 강도가 아니라 인체 발암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에 따른 것이라는 사실도 중요하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박테리아
신속 식별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6.28
■ KAIST는 박용근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홀로그래피 현미경과 인공지능을 이용한 신속
박테리아
병원균 식별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삼성서울병원과 KAIST 교원 창업기업 ‘토모큐브’가 참여한 이번 연구를 통해 패혈증 사례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총 19종의 병원균에 대해 99.9%의 정확도로 ... ...
'맨눈에도 보인다' 거대
박테리아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감안하면 단세포생물로는 어마어마한 염기를 보유한 것이다. 연구진은 거대
박테리아
가 어떻게 크기를 키우는 방향으로 진화했는지 아직 확실하지 않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포식자보다 수백, 수천배 크기를 키우면 잡아먹히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포식을 피하기 위해 진화했을 가능성이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