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스페셜
"
박테리아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것이라고 말하고 실제 그런 쪽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
박테리아
에 감염하는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를 치료제로 쓰는 파지요법 같은 대안도 연구해야겠지만 더 해볼 게 없다는 항생제도 이번 연구처럼 여전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제2, 제3의 조수라발핀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취약한 무척추동물인 파란고리문어나 어류인 복어, 양서류인 영원(newt)은 공생하는
박테리아
가 만든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으로 무장해 공격에 대비한다. 그런데 테트로도톡신 역시 나트륨 통로 단백질에 달라붙어 작용한다. 다만 포유류와 조류의 단백질의 특정 부위를 표적으로 삼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지닌 미생물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흔히 매스컴에서 들을 수 있는 미생물에는 세균(
박테리아
)과 바이러스가 있고 평균 크기가 이들보다 더 큰 것으로 곰팡이와 원생생물이 있다. 바이러스는 스스로 증식을 못하고 숙주 세포에 들어가서 숙주 세포의 능력을 이용해야 증식이 가능하므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소용이 없다. 그런데 지금 기술로는 세포의 모든 구성 성분을 갖고 있더라도
박테리아
세포의 어마어마하게 복잡한 구조를 흉내조차 낼 수 없다. 저자는 노트북과 운영체계로 이를 비유한다. 인공생명체는 새로운 운영체계를 기존 운영체계를 지운 노트북에서 작동한 것일 뿐이다. 새 운영체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게놈을 주입한다. 대장균의 전사 및 번역 시스템을 탈취해 증식한 파지는 단물이 다 빨린
박테리아
를 터뜨리고 나와 사방으로 흩어진다. 이때 관여하는 게 단백질E로, 대장균 세포벽의 구성성분을 만드는 효소인 MraY의 활성을 억제한다. 그 결과 세포벽이 약해지면서 내부 압력을 감당하지 못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위험한 실내 분무소독 당장 중단해야
2023.05.23
실내에서는 방향제도 경계해야 우리의 폐는 호흡으로 들이마시는 공기에 들어있는
박테리아
(세균)‧바이러스‧유해물질‧먼지에 고스란히 노출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우리 폐의 면역기능은 매우 취약하다. 피부와 같은 차단 기능도 없고, 눈물과 같은 배출 기능도 없다. 그래서 호흡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소년 마약 범죄 '철퇴' 필요한 과학적 이유
2023.05.03
밝혔고 이 과정에서 후각(화학감각)의 민감도가 바뀐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영양이 많은
박테리아
에서 나오는 냄새 분자에 더 민감해지면서 이들이 있는 쪽으로 이동한다. 흥미롭게도 사람 역시 대마초를 피우면 후각의 민감도에 변화가 생기고 미각 역시 유독 단맛에만 민감하게 바뀐다는 사실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
2023.02.28
제공 ● 세균(
박테리아
)에 의한 감염병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의 대두 유사 이래 사람과 세균(
박테리아
)은 함께 살아 왔다. 사람 피부에 붙어 있는 세균은 비누칠을 하고 샤워를 하면 대부분 떨어져 나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서 다시 자리를 잡기 시작한다. 보통 때는 아무 일 없이 피부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 이집트 미라 방부제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2.11
됐을 수 있다”며 “미라를 만든 뒤 목관에 넣어 매장했던 고대 이집트인들이 시신을
박테리아
나 곰팡이로부터 어떻게 보호했을 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널리 쓰이는 미생물인 수도모나스 푸티다(이하 푸티다)에 주목했다. 푸티다는 토양
박테리아
로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놀라운 적응력을 보인다. 특히 1960년대 일본에서 발견된 균주인 푸티다 KT2440이 쓸모가 많다. C2를 바로 쓸 수 있게 전극 용액과 미생물 배양 용액을 통일하면서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